경제·금융 정책

국산 '레저형 경비행기' 하늘을 날다

민관 279억 들여 7년간 개발

20일 초도비행…내년 본격 양산





국내 기술로 개발한 레저용 2인승 경량항공기가 초도 비행에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민간 기업들과 함께 지난 2010년 9월부터 총 279억원(정부 213억원, 민간 66억원)을 들여 연구개발(R&D)한 2인승 경량항공기의 초도 비행 기념행사를 20일 전남 고흥 항공센터에서 연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경량항공기 개발에는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베셀, 퍼스텍, 건국대 산학협력단 등 총 10개 업체와 기관에서 160여명의 기술진이 참여했다.

관련기사



이번에 개발한 경량항공기는 첨단 탄소복합재료를 사용해 기체를 경량화했다. 또 조종실 비행계기·바퀴다리 등 주요 부품과 첨단 항법시스템, 자동 비행장치를 국산화하는 등 국내 기술을 80%까지 활용했다. 특히 기체용 낙하산을 장착해 위급 상황을 대비했고 최대 비행거리 1,400㎞에 6시간까지 비행이 가능한 130ℓ짜리 연료 적재공간을 갖췄다.

특히 동급 외국 항공기 가격 1억8,000만여원보다 저렴한 1억5,000만원 내외 가격으로 국내는 물론 중국·일본 등 아시아 지역과 항공 레저가 활발한 유럽과 미주 시장 진출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내년부터 본격적 양산이 시작되면 400명의 신규 고용창출과 연간 700억원의 생산 유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국토부는 예상했다./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