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군산조선소 대책 내놨지만...지역선 "알맹이 없다" 반발

정부,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서

신규선박 건조물량 확대 등 지원

市 "조속 정상가동만이 해결책"

전북도 "지역경제 대책도 필요"

이낙연(오른쪽 세 번째) 국무총리가 20일 서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이낙연(오른쪽 세 번째) 국무총리가 20일 서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20일 군산조선소 중단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대책을 발표했지만 정작 지역에서는 “알맹이가 없다”며 추가적인 지원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에 이낙연 국무총리는 오는 26일 새만금 남북도로 기공식에 참석해 군산조선소 문제뿐 아니라 새만금의 미래비전과 전주 혁신도시 등 전북 경제의 주요 현안에 대한 추가적인 구상을 밝히기로 했다.


군산시는 이날 “가동 중단을 기정사실로 하듯이 시민 달래기 식으로 내놓은 조치에 대해 우려를 표한다”며 “정부 지원대책에 실망을 금하지 못한다”는 공식 입장을 내놓았다. 이어 “해결책은 오로지 조속한 정상 가동에 있다”며 “추가 대책과 함께 현대중공업이 선박 건조물량을 군산 도크에 배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규선 군산경영협의회장(티엔지중공업 대표)는 “어려운 현실에서 나아질 만한 새 내용은 전혀 없이 그간 나온 얘기만 포함됐다”며 “재가동 일정이나 조선업 일감을 군산조선소로 이전한다 등의 실질적인 내용이 빠졌다”고 주장했다.

조선소가 재가동돼 일터에 복귀하는 것을 기대하던 근로자들도 허탈해했다. 철수를 앞둔 한 조선소 근로자는 “조선업 일감에 대한 상세 내용이 빠졌다”며 아쉬워하면서도 “정부도 (수주절벽 때문에) 어쩔 수 없었을 것”이라며 씁쓸해했다.


지난 2010년 문을 연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는 그간 70여척의 초대형 선박을 건조하며 연간 1조원 안팎의 매출을 올렸다. 군산 경제의 24%가량을 담당했으나 조선업 불황 여파와 수주절벽에 발목이 잡혀 이달 1일 가동을 전면 중단했다.

관련기사



전라북도도 정부의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 대책에 대해 아쉬움을 나타냈다.

진홍 전북도 정무부지사는 정부의 대책 발표 직후 “정부가 최선을 다해 대책을 준비했지만 도는 일관되게 군산조선소의 재가동을 요구했고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아쉽다”며 “제1순위는 군산조선소의 재가동인 만큼 하루빨리 정상 가동이 되길 간절히 희망하고 근로자와 협력업체,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한 대책이 동시에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전북도 관계자는 “군산조선소는 전북 경제의 8%를 차지하는데 가동 중단으로 6,000여명이 직장을 잃었고 가족 2만여명이 생계를 걱정하게 됐다”며 “무엇보다도 조선소의 재가동이 필요하고 전북도가 제시한 대형 프로젝트 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앞서 이날 오전 이 총리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고 △선박 신조 수요 발굴 및 지원 △조선 협력업체 및 근로자 지원 △지역경제 충격 완화 및 지원 등 세 가지 부문으로 구성된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에 따른 지역 지원 대책’을 심의·확정했다.

정부는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위한 선박 신조 수요를 발굴하는 한편 협력업체가 정책금융기관으로부터 받은 대출의 만기를 1년 연장해주기로 했다. 아울러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를 위한 중장년 일자리 희망센터를 군산에 설치하는 등 고용 대책도 추진해나갈 방침이다.

/류호기자 군산=김선덕기자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