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추궈홍 中 대사 "文 정부 출범 이후 韓·中 관계 정상화 조짐"

추궈홍 주한 중국대사가 22일 제주 신로호텔에서 열린 ‘제42회 대한상의 제주포럼’에서 한중 관계에 대해 말하고 있다./사진제공=대한상공회의소추궈홍 주한 중국대사가 22일 제주 신로호텔에서 열린 ‘제42회 대한상의 제주포럼’에서 한중 관계에 대해 말하고 있다./사진제공=대한상공회의소


“지난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이후 한·중 관계가 큰 곡절이 있었다.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 취임 후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추궈홍 주한 중국대사는 22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진행된 제 42회 대한상의 제주포럼 특별강연에서 “사드는 지금도 양국 관계 발전을 가로막는 큰 장애물”이라면서도 “정상적 발전 단계로 넘어가는 주요한 전기를 맞이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추 대사는 이날 ‘한국과 중국, 경제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를 주제로 특별 강연에 나섰는데 강연 시작과 함께 경제 이야기 보다 사드 이야기를 먼저했다. 그는 “중국이 한국에 보복조치를 한다고 하는데 국가 간 교류 협력은 정치적 기반이 필요한 것”이라며 “이를 조속하게 해결하는 방법을 찾는 게 시급하다”며 간접적으로 사드 배치가 직접적 원인임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추 대사는 중국 속담 중 ‘기차 속도는 기관사에 달려있다’는 말을 하며 “(문 대통령 취임후) 양국 고위층 간의 원활한 소통이 이어지는 등 상황이 달라졌다”고 평가했다. 그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전화로 문 대통령의 당선을 축하했는데, 시 주석이 전화로 당선 사례를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며 “문 대통령이 취임후 한국에서 영향력 있는 이해찬 전 총리를 특사로 파견하고, 중국이 주도해 설립한 ADB연차총회에 직접 참석해서 축사를 하는 등 관계가 달라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추 대사는 “한중 관계는 아직 갈 길이 멀지만, 무엇보다 초심을 잃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다”며 “다음 달 한중 수교 25주년인데 많은 장애물을 극복하고 중국 베이징 국빈관에서 수교에 공동 서명했던 당시 초심을 되새기고 한반도의 장기적인 평화, 안정을 지켜나가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