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OECD 청년 고용률 올해 들어 상승세…한국은 하락

1분기 평균 41.1%…0.3%p 증가

한국 27.3%로 0.2%p 하락…하위 8위

한국 청년층 제외 고용률은 회복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의 청년 고용률이 1·4분기 소폭 상승했으나 한국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OECD에 따르면 올해 1분기 35개 회원국의 15~24세 청년 고용률은 41.1%로 지난해 4분기(40.8%)보다 0.3%포인트 올랐다. 지난해 1분기 40.6%, 2분기 40.7%, 3분기 40.8%와 비교해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G7(주요 7개국) 청년 고용률은 지난해 4·4분기 44.4%에서 올해 1분기 44.8%로, 유럽연합(EU)은 34%에서 34.2%로 나란히 상승했다.

1분기 청년 고용률이 가장 높은 나라는 아이슬란드(78.3%)로 나타났고, 스위스 63%, 네덜란드 61.5%, 호주 57.9%, 덴마크 56.4% 등이 뒤를 이었다.


청년 고용률이 가장 낮은 나라는 그리스(13.9%)였고, 이탈리아(17.1%), 스페인(19.4%), 벨기에(20.9%), 룩셈부르크(25.3%) 등이 하위 5위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이중 한국은 27.3%에 그쳐 OECD 평균에 크게 못 미쳤다. 35개 회원국 중 슬로바키아(27.1%), 포르투갈(25.5%)과 비슷한 수준을 보이며 하위 8위에 머물렀다. 이는 지난해 4분기(27.5%)보다 0.2%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한국 청년 중 학생(비경제활동인구)의 비중이 높은 점이 주요 원인이지만 경제 규모가 비슷한 나라와 비교해도 청년들이 일자리를 얻기 어려운 현실이 반영된 것이란 해석이다.

한편 OECD 회원국의 전체(15∼64세) 고용률은 1분기 67.4%에 달해 지난해 2분기 66.8%, 3분기 67%, 4분기 67.2%에 이어 상승세를 이어갔다.

한국의 전체 고용률은 66.5%로 OECD 평균에는 못 미쳤지만 지난해 2분기부터 65.9%, 66.2%, 66.3%를 보이며 오름세에 동참했다. 특히 55∼64세 고용률이 지난해 4분기 66.8%에서 67.4%로 올랐고 25∼54세도 76.2%에서 76.3%로 상승하는 등 청년층을 제외한 연령대에서는 고용률이 개선됐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