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논란의 ‘유나이티드 항공’, 순익 39%나 증가한 이유는

여론 악화 불구하고 업계 과점화·새 요금제 영향으로 승객 증가

유나이티드 항공/AFP연합뉴스유나이티드 항공/AFP연합뉴스


정원을 초과해 항공권을 판매하고 탑승까지 마친 승객을 끌어내 물의를 빚은 미국 유나이티드 항공이 2·4분기에 매출과 순익 모두 증가를 기록했다.

지주회사인 유나이티드 콘티넨털 홀딩스는 유나이티드항공이 2·4분기(4~6월) 중 매출 100억 달러(약 11조 1,720억 원), 순이익 8억 1,800만 달러(약 9,138억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매출에서 6%, 순이익에서 39% 증가한 수치다. 오스카 무노스 유나이티드항공 최고경영자(CEO)는 19일(현지시각 열린 콘퍼런스 콜에서 “고객서비스 개선이 이뤄진 결과”라며 “실적향상에 용기를 얻었다”고 말했다.


유나이티드항공은 지난 4월 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을 출발해 켄터키 주 루이빌로 향할 예정이었던 항공 3411편에서 베트남계 미국인 의사 승객을 공항 경찰 등 당국자를 동원해 강제로 끌어낸 사실이 알려져 여론의 질타를 받았다. 사건 후 민간기관이 벌인 여론조사에서 소비자 56%가 유나이티드항공을 “타지 않겠다”고 응답하는 등 여론이 악화해 2·4 분기 실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됐다. 우려와 달리, 4~6월 유나이티드항공 이용승객은 3,824만명으로 오히려 지난해 동기 대비 5% 증가했다.

관련기사



아사히(朝日)신문은 미국 항공업계의 과점화와 새로운 요금제도 도입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미국 항공업계는 2013년 3대 대형사 중심으로 재편됐다. 미국 전국 주요 공항의 90%에 한두 개의 항공사가 좌석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새로 도입된 요금제도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미 항공업계는 올봄 이코노미석보다 더 싼 ‘베이식 이코노미’ 요금을 도입했다. 애널리스트인 로버트 만은 “새 요금제 도입으로 가격 면에서도 저가항공사와 경쟁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