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반려동물 탈취제·물휴지서도 가습기 살균제 성분 검출

규제기준 없어 ‘관리 허점’…“기준 마련 시급”

반려동물반려동물


반려동물용 탈취제와 물휴지에서 가습기 살균제 성분인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CMIT)과 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이 검출됐다. 해당 제품들은 주로 집 안에서 사용돼 사람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반려동물용으로 유통·판매 중인 스프레이형 탈취제 21개, 물휴지 15개 제품에 유해 화학물질 시험검사를 시행했더니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고 25일 밝혔다. 스프레이형 탈취제 21개 중 동물용의약외품 반려동물용 탈취제 14개를 조사한 결과, 8개 제품(57.1%)에서 위해우려제품 안전기준을 초과하거나 사용이 금지된 유해화학물질이 검출됐다.

동물에게 분사하는 탈취제는 두 종류로 나뉘는데, 동물에게 직접 분사하는 용도인 ‘동물용의약외품’과 주변 환경에 분사하는 ‘위해우려제품’가 있다. 각각 다른 법률에 따라 관리되며, 이 중 동물용의약외품에는 유해 화학물질 기준이 없다. 동물용의약외품 탈취제 5개 제품에서 위해우려제품 탈취제에 사용이 금지된 CMIT와 MIT가 검출됐다. 6개 제품에서는 폼알데하이드가 위해우려제품 탈취제 기준치(12㎎/㎏ 이하)의 최대 54.2배(최소 14㎎/㎏∼최대 650㎎/㎏) 초과 검출됐다. 위해우려제품으로 관리되는 탈취제에서는 유해 화학물질이 검출되지 않았다.


반려동물용 물휴지 15개 중 3개 제품(20.0%)에서도 유해 화학물질이 나왔다. 2개 제품에서는 CMIT와 MIT가 검출됐다. 폼알데하이드가 화장품 기준치(20㎍/g 이하)의 최대 4배 (최소 26.6㎍/g∼최대 80.8㎍/g) 넘게 검출된 제품들도 있다.

관련기사



반려동물용 물휴지에 적용되는 유해 화학물질 기준이 없어 ‘화장품 안전기준’을 적용했다. 소비자원은 “탈취제나 방향제 등 스프레이형 제품과 물휴지를 포함해 씻어내지 않는 제품에는 CMIT와 MIT를 사용할 수 없게 돼 있지만, 동물용의약외품의 경우 관련 안전기준이 없어 많은 제품에서 유해 화학물질이 검출됐다”며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동물용의약외품으로 관리되는 탈취제 14개 제품 중 6개 제품이 악취 발생장소·싱크대·화장실·실내·차량 내부 등 주변 환경에, 8개 제품은 동물과 주변 환경에 겸용으로 사용하도록 표시돼 있었다. 이 경우 일반 탈취제와 구분이 어려워 동물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 정화용으로 뿌릴 위험이 있다고 소비자원은 지적했다.

반려동물용 물휴지의 경우도 표시사항을 누락한 경우가 많았다. 15개 중 3개 제품은 표시사항을 모두 누락했고 11개 제품은 일부 사항을 기재하지 않았다. 특히 15개 제품 모두가 사람의 손과 직접 접촉하는 제품이었지만 장갑을 제공하거나 사용 방법에 사용 후 손을 씻으라는 주의 문구를 표시한 제품은 없었다. 소비자원은 “유해 화학물질이 검출된 반려동물용 탈취제와 물휴지 제품은 즉시 사용을 중지하고 판매자로부터 교환·환불을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