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자발·자립·자습...'3自' 사라진 자영업...상인정신을 살려라

떠밀리듯 졸속 창업에

창업 교육조차 못받아

10곳중 7곳 3년내 폐업

자영업이 위기에 빠졌다는 진단이 넘쳐난다. 이 위기의 드라마 속 주인공을 ‘김자영씨’라고 부르도록 하자. 김자영씨는 어떤 모습일까.

서울경제신문이 기업은행 산하 IBK경제연구소와 공동으로 여러 통계에 근거해 김자영씨를 소환했다. 김자영씨는 남성이며 나이는 50대다. 종사업종은 한식당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월매출과 월비용은 각각 1,400만원과 1,200만원이며 월수익은 약 198만원을 기록하고 있다. 최근 트렌드를 감안할 때 종사업종에 편의점을 갖다 놓아도 무방하다. 한 가지 더. 김씨가 창업 후 3년 안에 폐업할 확률은 70%다.

자영업을 풀어쓰면 ‘스스로 영위하는 업’이다. 모든 영리행위를 업으로 봤을 때 자영업이 다른 직업과 다른 점은 ‘스스로’ 한다는 것이다.


반면 국내 자영업 시장의 특징을 세 가지로 압축하면 △비자발적 △의존형 △졸속창업이다. 뒤집어보면 자영업은 ‘자발적(自發的)’으로 창업에 나서고 외부조력 없이도 ‘자립(自立)하며’ 이를 위해 ‘스스로 학습(自習)’하는 형태여야 한다.

관련기사



국내 자영업 시장에는, 또 우리의 김자영씨에게는 이 ‘3자(自)’가 빠져 있다. ‘3자’가 생략된 자영업 시장에서 10명의 자영업자 중 7명이 3년 안에 폐업한다는 결과는 어쩌면 시장의 자연스러운 구조조정 결과일지 모른다.

실제로 중소기업청이 2008~2014년 창업한 6,020개 기업을 표본으로 한 조사에서 68.2%가 ‘창업 외에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고 밝혔다. 또 창업교육을 경험한 경우는 17.6%로 10명 중 8명은 특별한 교육 없이 창업시장에 진출했다.

자영업 위기의 처방으로 첫손에 꼽히는 것이 이 시장으로의 유입인력을 줄이는 것이다. 정부는 여기에 초점을 맞췄지만 구조적인 문제인 만큼 당장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사회구조적 접근과 별개로 자영업자 스스로 생존율을 높이는 내적 접근도 시급하다. 살아남은 자영업자 30%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본지는 창간 57주년을 맞아 ‘자영업 롱런시대, 이제는 상인정신이다’ 시리즈를 연재한다. 1부에서는 자영업 위기의 원인을 추적하고 2부에서는 위기의 자영업 시장에서 자영업자로서의 근본에 충실하며 생존을 이어가는 자영업자들의 DNA를 탐색해본다.

/박해욱·임진혁기자 spooky@sedaily.com

박해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