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희대, 국내 대학 최초로 청소노동자 전원 정규직 채용

경희대학교 본관 /연합뉴스경희대학교 본관 /연합뉴스


국내 대학 중 최초로 경희대가 자회사를 설립해 청소노동자 전원을 정규직으로 채용했다.

최근 연세대와 이화여대 등에서 비정규직 청소노동자와 대학 측이 임금 인상을 두고 갈등을 벌이는 가운데 나온 조처다. 다른 학교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26일 경희대 관계자는 “학교 산학협력단 기술지주회사가 자회사 ‘케이에코텍’을 이달 초 설립해 청소노동자 140명을 전원 직접 고용했다”고 밝혔다. 경희대는 산학협력단 자회사가 노동자들과 계약하는 방식으로 직접 고용을 추진했다. 비영리 조직인 대학이 청소노동자를 직접 고용하는 것의 법률적 문제 등을 고려한 것이다.

140명의 경희대 청소노동자들은 자회사와 고용계약을 체결해 70세까지 정년을 보장받게 됐다. 2015년 학교 내에서 청소노동자 직접 고용 논의가 이뤄지기 시작한 지 약 2년 만의 성과다.

조진원 케이에코텍 대표는 “청소노동자들을 고용했던 용역업체에서 4대 보험까지 모두 승계함으로써 완전 고용을 마무리했다”고 전했다.


공공운수노조 서경지부 경희대 분회 백영란 분회장은 “한 번 취업하면 안정적으로 정년까지 일할 수 있어 마음이 편안하다”면서 “이제 정규직으로의 첫걸음을 시작한 만큼 복지와 근로 환경도 좋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경희대의 정규직 고용은 최근 서울 시내 주요 대학에서 학교 측과 비정규직 청소노동자들이 첨예한 갈등을 빚는 상황과는 상반된다.

백 분회장은 “만약 정규직으로 직접 고용이 이뤄지지 않았다면 경희대에서도 다른 대학과 마찬가지로 심한 갈등으로 이어졌을 것”이라며 “대학이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자회사가 민주적으로 운영돼야 한다”고 전했다.

하지만 자회사와 노조 간 세부 협상이 남아 아직 갈 길이 멀다는 게 백 분회장의 설명이다. 케이에코텍과 경희대 청소노동자 노조는 다음 달 초 임금, 복지, 근로환경 등을 놓고 교섭을 벌일 계획이다. 노조는 회사 경영에 노동자가 참여할 수 있는 제도 마련과 경희의료원 이용 등 직원 복지에 관한 요구사항을 케이에코텍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 대표는 “자회사 설립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제 시작”이라면서 “비용을 절감하면서 노동자들이 만족할 수 있도록 소통하면서 회사를 운영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민제 인턴기자 summerbreeze@sedaily.com

김민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