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올해 자동차 리콜 최대치 경신 앞둬

올해만 130만대…역대 최대 2004년 136만대 경신 '코앞'

서울 양재동 현대·기아자동차 사옥/연합뉴스서울 양재동 현대·기아자동차 사옥/연합뉴스


올해 리콜 결정을 내린 차량이 170여건, 130만대를 넘어섰다. 역대 최대 리콜을 기록한 2004년의 136만대에 근접한 수치다. 연말까지 아직 5개월이 남아 역대 기록 경신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26일 국토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리콜 결정을 받은 차량은 총 172건, 130만8,758대다. 올해 1월 짚 랭글러·짚 체로키·렉서스 RX350 등 17개 차종, 4,423대를 리콜한 것으로 시작해 최근 벤츠 AMG E63 승용차와 애스턴마틴 DB11 스포츠카 등 24대도 리콜 결정을 받았다.


자동차 자기인증제가 도입된 2003년 뒤 리콜이 가장 많이 발생한 것은 2004년으로 총 115건, 136만9,925대가 리콜됐다. 리콜 결정 차량이 100만대를 넘긴 해는 2013년과 2015으로, 각각 103만7,151대, 103만2,906대였다. 지난해 국토부가 리콜 결정을 한 차량은 62만5,000대로 전년보다는 줄었다. 그러나 2009년 15만9,000대, 2010년 27만대, 2011년 26만8,000대 등과 비교하면 대폭 늘어난 것이다.

관련기사



올해는 벌써 130만대나 리콜 결정을 받아 역대 최고 기록 경신은 확정적이다. 김광호 현대차 전 부장이 제보한 32건의 제작결함 의심사례도 조사가 이뤄지고 있어 리콜 대수는 더 늘어날 예정이다. 32건 중 3건은 현대·기아차가 자발적으로 리콜했다. 5건은 국토부가 강제리콜 명령을 내렸고, 9건은 국토부가 공개 무상 수리를 권고했다. 현대·기아차가 자발적으로 리콜한 세타2 엔진결함 차랴이 17만대, 국토부가 강제리콜 명령을 내린 5건이 24만대에 달해 리콜 대수가 대폭 늘었다. △ 쏘렌토 에어백 클락 스프링 경고등 점등 △ 제네시스 ECU 불량으로 인한 시동 꺼짐 △ 봉고3 ECU 불량으로 인한 시동 꺼짐 등 3건은 국토부가 추가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LF 쏘나타 도어래치 작동 불량 등 12건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이달 18일부터 ‘자동차 결함 조기 경보제’를 도입했다. 자동차 제작사가 무상 수리 등을 목적으로 자동차정비업자와 주고받은 기술정보자료와 자체 또는 외부 요청으로 조사한 자동차 화재△사고 관련 기술분석자료를 모두 국토부에 제출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제출 받은 자료를 토대로 국토부는 결함 경향성을 발견하는대로 경고를 하는 등 선제 조치에 나설 방침이다.

/조은지 인턴기자 ejee@sedaily.com

조은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