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벤츠에서 아식스까지, 글로벌에서 더 주목 받는 콘텐츠미디어 아이콘티비

디자이너·스트리트 아티스트 등

문화 아이콘 콘텐츠 750개 보유

제작비용 기존업체 5분의1 수준

"아식스·야후와도 프로젝트 준비"



디지털 기술 발달이 산업지형 자체를 탈바꿈시키고 있는 대표적인 곳이 광고시장이다. 오랜 시간 국내 광고시장은 재벌 광고주와 메이저 광고회사, 그리고 지상파 광고시장 등 삼각편대가 주류를 이뤄왔다. 그러나 디지털 시대에 접어들면서 광고주체와 광고수단 등의 구분은 더 이상 무의미해졌고 마케팅에 성공한 자만이 소비자 뇌리에 각인될 뿐이다.

글로벌 문화 콘텐츠 미디어를 표방하는 아이콘티비의 김욱현(사진) 대표는 이 지점을 파고 들었다. 김 대표는 26일 서울경제와 인터뷰에서 “아이콘티비가 관심을 갖는 대상은 스트리트 컬처(거리문화)를 만들어가는 창의적인 젊은이들”이라며 “이들이 주인공인 광고물을 제작하고 이 콘텐츠를 무기 삼아 플랫폼에 유저들을 모으고 이들이 또 다시 문화 콘텐츠를 확대 재생산하면서 부가가치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아이콘티비가 만드는 광고물의 제작·유통 비용은 일반적인 온라인 광고제작비용 대비 최대 3분의 1 수준이다. 제도권 광고사들이 만들 때 비해 5분의 1 정도에 불과하다. 스트리트 아티스트들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제작비를 따로 받지는 않는다. 광고 주인공들은 그저 콘텐츠만 제공할 뿐이다. 현재 이렇게 만들어 놓은 콘텐츠만 750여개에 달한다.


김 대표는 “플랫폼을 구성하는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해 지난 2년간 20억원이 넘는 비용을 투자했고 이것이 우리의 경쟁력”이라며 “특히 우리가 보유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일본, 동남아 등 글로벌시장의 젊은이들에게도 공감할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뛰어난 창의적 재능을 갖고 있지만 아직 시장에 알려지지 않은 이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아이콘티비는 탤런트 엑셀러레이터 역할을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아이콘티비를 창업하기 전 김 대표는 국내외 대형 광고회사에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일했다. 특히 일본 최대 광고회사인 덴츠에서도 근무해 일본 내 네트워크도 갖고 있다. 현재 아이콘티비는 15명의 인력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60% 이상이 콘텐츠 생산인력이다. 김 대표는 “작년부터 디지털 광고시장을 노린 광고회사들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났는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지 여부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아이콘티비가 지금까지는 콘텐츠 확보에 주력했다면 올 하반기부터는 수익원 확보에도 본격 나설 계획이다. 아이콘티비는 최근 디자이너 고태용씨가 출연하는 벤츠 광고, 6명의 젊은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찍은 11번가 광고 등을 제작하며 광고시장에 큰 주목을 받았다. 제작인건비, 세트장 구축비용 등을 최소화해 제작비용은 기존 대비 5분의 1 가량으로 줄였다.

김 대표는 “제작비에 끼어 있는 거품과 콘텐츠 유통채널을 SNS로 한정하면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며 “현재 아식스·야후 등 글로벌 기업들과의 상업용 광고제작 프로젝트도 준비 중이어서 올 연말께는 외형과 내실 양쪽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해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