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빅데이터로 항암 효과 있는 구충제 찾았다

-신약재창출 성공...뇌질환, 치매 등 다양한 치료제 개발 가능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신약 재창출 후보로 선정된 구충제에서 간암 환자 조직 억제 효과를 확인했다. /사진제공=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신약 재창출 후보로 선정된 구충제에서 간암 환자 조직 억제 효과를 확인했다. /사진제공=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비아그라’, ‘미녹시딜’ 은 모두 ‘신약재창출’의 성공 사례다. 발기부전 치료제인 ‘비아그라’는 협심증 치료제로 연구되다 발기부전의 효능이 확인된 사례이며, 고혈압치료제의 일종인 ‘미녹시딜’도 탈모치료제로 더 알려져 있다.

신약 개발에 성공하면 고수익이 보장되지만, 수십 년의 개발 기간과 천문학적 비용이 요구된다. 하지만 이미 시장에 출시 된 의약품 중에서 새로운 질병 치료 효과를 발굴하는 ‘신약재창출’ 기술은 안전성 확보와 신약 개발시간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미국 스탠포드대학, 캘리포니아샌프란시스코대(UCSF) 연구팀과 초고성능컴퓨터와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해 구충제 ‘피르비늄(Pyrvinum)’에서 항암 효과를 검증, 실제 간암 환자조직에서도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고 27일 발표했다.

관련기사



백효정 KISTI 생명의료HPC연구센터 박사와 미국 연구진은 이미 시장에 출시 된 의약품에서 새로운 항암 효과를 예측하는 상관 계수 모델을 제시했다. 연구진은 6만 6,000종 이상의 약물과 화학물에 대한 암세포 전장 유전체 반응 정보 및 1,000만 건 이상 화학물 활성 정보와 7,500명 이상의 암 환자 유전체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구충제 ‘피르비늄’에서 간암 환자 치료 효과를 입증하는데 성공했다.

백효정 KISTI 박사는 “암뿐만 아니라, 뇌질환, 치매 등 다양한 난치병의 치료제 개발을 위한 빠르고 안정적인 신약 재창출 파이프라인을 제시했다”면서 “치료과정의 약물 부작용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지원과 스탠포드의대, 컴퓨팅 기술 기반의 신약 재창출 분야의 거장인 아툴 버트 교수 UCSF연구진이 공동으로 진행했다. 해당 연구결과는 지난 12일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백효정 KISTI 박사/사진제공=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백효정 KISTI 박사/사진제공=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