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청의 한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체계결빙 기준 미달 부분은) 후속 시험계획을 확정했다”며 “올해 12월부터 내년 3월까지 기준에 못 미친 29개 항목 시험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감사원이 지난 16일 발표한 수리온 개발사업 감사 결과에 따르면 방사청이 2015년 10월∼2016년 3월 미국에서 진행한 체계결빙 성능시험에서 수리온은 101개 항목 가운데 29개 항목이 기준에 미달했다.
감사원은 방사청이 수리온의 체계결빙 관련 결함을 해결하기 위한 조치가 없었는데도 납품을 재개하도록 하고 전력화 재개를 추진했다고 지적했다. 체계결빙은 항공기가 겨울철 먹구름 속을 비행할 때 기체와 날개 등에 얼음이 생기는 현상으로 얼음조각이 떨어져 나가면서 엔진 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수리온은 엔진 공기 흡입구 등에 허용량(110g)보다 많은 얼음이 발생한 탓에 체계결빙 일부 항목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방사청 관계자는 수리온 개발 과정에서 체계결빙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한 데 대해 “체계결빙 시험의 특수성 때문에 해외 주요 항공기들도 개발 종료 이후 전력화와 병행해 2∼5년에 걸쳐 입증한다”고 설명했다.
우리 군이 운용 중인 미국산 헬기 UH-60 ‘블랙호크’도 1976년 개발이 완료됐지만 체계결빙 시험은 1979∼1981년에 통과했다는 게 방사청의 설명이다.
체계결빙 시험은 위험이 커 항공기가 개발을 끝내고 안전성을 확보한 다음에야 할 수 있고 한번 시험을 통과하지 못할 경우 후속대책을 세워 저온 다습한 계절이 다시 올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 군은 일단 수리온 조종사가 체계결빙 발생 지역으로 비행하지 않도록 유도하고 체계결빙 환경에 진입할 경우 신속히 벗어나도록 하는 내용의 교범을 운용 중이다.
방사청 관계자는 수리온 기체에 빗물이 샌다는 감사 결과에 대해서는 “기체 내부에 물이 스며드는 문제가 있었지만 형상 변경 등으로 이미 해결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권홍우 선임기자 hongw@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