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대만 중화문화총회 "문화협력 머리 맞대고 싶었는데…" 도종환 장관과 만남 불발 '아쉬움'

문체부 거절에 면담 추진 무산



“교사 출신 문인으로서, 또 정치인으로서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양국의 문화협력 방안을 위해 머리를 맞대고 싶었는데 아쉽습니다.”

27일 서울 사간동 대한출판문화협회 회의실에서 본지 취재진과 만난 린진창(林錦昌·사진) 중화문화총회 사무총장은 이번 방한을 앞두고 추진했던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의 면담이 성사되지 못한 데 대해 아쉬움을 내비쳤다.


중화문화총회는 중화문화 발전과 교류, 국제협력 등을 위해 결성된 민간단체이나 정부가 문화진흥에 앞장선다는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 총통이 역대 회장을 맡고 있다. 현재 회장은 지난해 5월 취임한 차이잉원(蔡英文) 총통으로 린 사무총장과 지앙춘남(江春男) 부회장은 총통을 대신해 도 장관과 만나 양국 문화상호교류 방안을 의논하려 했으나 끝내 무산됐다. 차이 정부가 국제 문호 확대를 국정과제로 내세운 가운데 올해부터 주요국을 방문하며 문화교류 기회를 모색하려 했던 중화문화총회는 첫 방문지인 한국에서부터 문전박대를 당하게 됐다.

관련기사



정중한 거절이었으나 예고된 것이기도 했다. 중국은 대만에 92공식(九二共識·1992년 ‘하나의 중국’을 인정하되 각자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 합의)을 인정하지 않는 민진당 차이잉원 정부가 들어선 이래 대만의 외교활동을 줄곧 봉쇄하고 있어 한국 정부 역시 국가 대 국가로서의 공식 만남이 성사되기는 어려웠을 것이라는 후문이다. 실제로 중국의 압박이 거세지면서 차이 총통 취임 후에만 대만 수교국이 2개 줄어 20개국이 됐다. 한국은 1992년 국교 단절 이후 대만과 이렇다 할 공식 교류는 없었다. 지난 5월 문재인 대통령 당선 직후 차이 총통이 당선 축하 메시지를 보내 양측간의 교류 확대를 당부했으나 변화가 없기는 마찬가지다.

린 총장은 고등학교 교사 시절 소설가로 등단한 문인으로 이후 천수이볜 총통 시절 비서실 공보차장, 차이 총통의 대선 선거팀에서 공보비서관을 맡는 등 민진당 수뇌부로 활동했던 인물로 도 장관과 공통점이 많다. 그가 도 장관과의 만남이 무산된 데 거듭 아쉬움을 표한 이유기도 하다.

린 총장은 “우리는 문화공화국에 살고 있을 뿐 문화에는 국적도 민족의 구별도 없다”며 “나는 정치 일선에 나섰지만 문학으로 돌아갈 것이고 도 장관 역시 마찬가지인 만큼 문학이라는 본질 안에서 결국 만나게 될 것”이라는 말을 도 장관에게 남겼다.

서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