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러 "北미사일은 중거리탄도미사일"...한·미 평가와 어긋나

러, "고도 681㎞, 비행거리 732㎞"

한, "고도 3,700여㎞, 비행거리 1,000여㎞"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4형’ 미사일. /연합뉴스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4형’ 미사일. /연합뉴스


러시아 국방부는 북한이 28일 발사한 미사일을 또다시 ‘중거리탄도미사일’로 평가했다.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미사일을 발사했다는 한국과 미국의 평가와는 크게 어긋난다.

러시아 국방부는 이날 “28일 오후 5시 40분(현지시각, 한국시각 오후 11시 40분)께 (평안북도) 동창동 훈련장에서 이뤄진 탄도미사일 발사를 러시아의 미사일 공격경고시스템 장비가 추적했다”고 발표했다. 러 국방부는 “미사일이 고도 681km까지 날아올라 732km를 비행한 뒤 일본해(동해) 중심부에 떨어졌다”며 “비행자료는 중거리탄도미사일의 전술·기술적 특성에 부합한다”고 설명했다.


러시아의 평가는 한국과 미국 군사당국의 평가와는 크게 어긋난다.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앞서 북한이 이날 발사한 미사일의 고도와 비행 거리가 각각 약 3,700km, 1,000여km로, 통상 사거리 기준시 지난번 ‘화성-14형’보다 진전된 ICBM급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했다. 미국 국방부도 북한이 발사한 비행체가 “약 1,000km를 비행했다”며 ICBM이라고 확인했다. 북한이 지난 4일 발사했던 ‘화성-14’의 최고고도와 비행거리는 각각 2,802㎞, 933㎞로 파악됐다. 북한과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러시아는 화성-14형 미사일도 ‘중거리탄도미사일’로 규정한 바 있다.

관련기사



러시아는 미사일 발사 장소도 잇따라 다른 곳을 지목했다. 한·미 군사 당국은 이날 미사일 발사 장소를 자강도 무평리 일대로 규정했으나 러시아는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동창동) 미사일 발사장이라고 주장했다. 이달 초 화성-14형 발사 때도 한·미 당국은 평안북도 구성시 방현 일대를 발사 장소로 지목한 반면 러시아는 역시 동창동 미사일 발사장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