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청와대 인사이드] 차분함 유지, 안보 불안심리 잠재우기…첫날 평창서 올림픽 점검, 진해서 휴식

●北도발에도 文대통령 여름휴가 왜?

문재인 대통령이 30일 오후 취임 후 처음 맞는 여름휴가를 이용해 평창에 들러 모노레일을 타고 동승한 시민들과 함께 스키점프대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30일 오후 취임 후 처음 맞는 여름휴가를 이용해 평창에 들러 모노레일을 타고 동승한 시민들과 함께 스키점프대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6박7일 일정으로 여름휴가를 떠났다.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발사시험 직후 떠나는 문 대통령의 발걸음이 가벼울 리 만무하지만 국내의 안보 불안 심리를 잠재우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휴가를 가기 전날까지 외교안보 참모진을 불러 만반의 준비태세를 갖추고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30일 김정숙 여사와 함께 평창으로 휴가를 떠났다. 평창올림픽과 패럴림픽 D-200행사에서 홍보대사로 위촉된 문 대통령은 휴가 첫날을 평창에서 보내며 올림픽 준비를 점검하고 일반 시민들과 만날 계획이다. 평창올림픽에 대한 국민적 열기를 대통령이 나서서 끌어올린다는 차원에서다. 이후 문 대통령은 남은 휴가를 경남 진해 해군기지 대통령별장에서 보낼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추가 도발이 있더라도 신속하게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북한의 무력 도발 직후 떠나는 문 대통령의 휴가에 대해 논란이 있지만 만반의 준비태세를 갖췄다는 게 청와대 측의 설명이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이미 휴가 기간에 대통령에게 보고되는 체계는 이중·삼중으로 갖춰놓았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의 휴가는 북한의 잦은 무력 도발로 고조되는 안보 불안 심리를 잠재우겠다는 의미도 내포돼 있다. 대통령이 예고한 휴가를 취소할 경우 안보 불안이 커지고 더 나아가 한국의 경제지표마저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대통령의 휴가는 개인 차원을 넘어 경제·사회적으로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크다는 것도 이유다. 앞서 문 대통령은 “나부터 주어진 연차를 다 소진하겠다”며 ‘쉼이 있는 문화’ 정착에 앞장서겠다는 뜻을 밝혀왔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