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 유통 업계에서는 중국 정부가 롯데마트 현지 매장에 대해 폐점 명령을 내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중국 정부가 롯데마트를 메시지를 전달하는 통로로 이용하고 있다”며 “상징적으로 롯데마트 1~2곳에 폐점 명령을 내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고 말했다. 현재 중국 내 롯데마트 99곳 가운데 74곳은 중국 정부의 소방 점검 등을 이유로 영업을 하지 못하고 있다. 또 13곳은 자율 휴업 중이다. 사실상 중국에서의 사업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중국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혜택에서 배제되면서 어려움을 겪는 국내 전기차 배터리 업계도 당혹스런 분위기가 역력하다. 국내산 배터리는 올해 중국 정부가 고시한 여섯 차례의 전기차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됐다. 하지만 보조금 지급 명단에서 빠져 있던 일본산 배터리가 지난달부터 포함되면서 하반기에는 상황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나왔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무역보복이 더욱 노골적이고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걱정했다.
사드 보복 여파로 중국 시장에서 실적이 반토막 난 자동차 업계와 뷰티 업계 역시 좌불안석이다. 올 상반기 중국에서 판매량이 절반 이상 급감한 현대·기아차는 사드 쇼크가 하반기까지 계속된다면 사상 최악의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고 벌벌 떤다. 아모레퍼시픽이나 LG생활건강 등 화장품 업체도 판매점 영업정지 등 중국의 보복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