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8월의 독립운동가' 김수민 의병장

13도 창의군의 서울 진공 모형13도 창의군의 서울 진공 모형


국가보훈처는 광복회·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김수민(1867~1909) 의병장을 ‘8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

1867년 경기 장단군에서 태어난 선생은 무예와 사격술·전술에 능했다.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해 일본을 상대로 싸웠으며 광무 황제의 강제 퇴위와 대한제국 군대의 해산을 계기로 경기 지역에서 농민들을 중심으로 의병을 일으켰다.


1907년 13도 창의군과 함께 서울 진공작전에 참여했으나 무산되자 이듬해 휘하 의병부대를 이끌고 경기 동북부 지역 연합의병을 규합했다. 의병운동을 전개하면서 일본군의 헌병분파소를 파괴하는 등의 전과를 올렸다.

관련기사



1909년 3월 ‘창의도독부사령장겸군량관’ 명의로 전국에 격문을 보낸 후 새롭게 의병부대를 재편했다. 서울에 잠입해 정세를 살피고 총기와 군수품을 구입했다. 같은 해 8월 서울 잠입한 사실이 일제에 포착돼 고양군 하도면으로 피신했으나 경성필동헌병대에 부하 2명과 함께 체포됐다.

헌병대 사령부에서 고문을 당하면서도 “나를 죽일지 살릴지 빨리 결정할 것이고 나에 대해 장황하게 질문해도 답할 것이 없다”며 끝까지 동료 의병을 보호했다. 1909년 11월 교수형을 받고 2년여에 걸친 구국 의병전쟁을 마감했다. 정부는 고인의 공적을 기려 지난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