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블랙리스트 조사위 공식 출범

도종환 장관·신학철 화백 공동위원장

도종환(왼쪽)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린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및 제도개선위원회’ 첫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도종환(왼쪽)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열린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및 제도개선위원회’ 첫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및 제도개선위원회가 31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첫 회의를 열고 공식 출범했다.

문체부 공무원 4명과 민간 전문가 17명 등 21명으로 구성된 조사위원회의 공동위원장은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민중미술가 신학철 화백이 맡았다.


블랙리스트 진상조사위원회는 진상조사, 제도개선, 백서발간 등 3개 분과로 나뉘어 운영된다. 각 분과별로 진상조사는 조영선 변호사, 제도개선은 이원재 문화연대 문화정책센터 소장, 백서발간은 연극평론가 김미도 씨가 선정됐다.

관련기사



이날 회의에서는 공동위원장과 분과 위원장을 선출하고, 첫 번째 안건으로 블랙리스트로 배제된 사업을 복원하는 방안을 통과시켰다.

조사위 운영 기간은 6개월이나, 필요할 경우 위원회 의결을 거쳐 3개월씩 연장하도록 했다. 또 위원회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문체부 안에 공무원 4명과 민간 전문위원 16명으로 이뤄진 별도의 지원팀을 만들기로 했다.

도종환 문체부 장관은 회의 직후 열린 브리핑에서 “새 정부의 적폐청산 첫 과제가 블랙리스트 진상조사와 제도개선”이라며 “누구나 배제되지 않고, 차별받지 않고, 감시받지 않을 권리가 있다. 블랙리스트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까지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신학철 공동위원장은 “우리나라는 분단 상황으로 인해 해방 이후 현재까지도 예술가들이 마음 놓고 표현의 자유를 누리지 못했다”고 지적한 뒤 “이번 사건을 역사적 교훈으로 삼아 예술인들이 공평하고 공정하게 대우받으며 활동하는 여건을 만드는 데 보탬이 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조상인기자 ccsi@sedaily.com

서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