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北, 2025년께 고체연료 ICBM 개발 가능”

미사일 전문가 존 실링 연구원 분석

미국 항공우주연구기관인 에어로스페이스의 연구원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과 관련해 북한이 기술 고도화를 지속한다면 2025년께 미국 전역을 사정권에 두는 고체연료 ICBM을 개발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미사일 전문가인 존 실링 연구원은 1일(현지시간) 미 북한 전문매체 ‘38노스’ 기고문에서 “현재의 액체연료 ICBM, KN-20은 고체연료 ICBM 개발로 나아가기 위한 중간 단계”라며 이같이 분석했다.

그는 북한이 지난달 4일과 28일 각각 발사한 ‘화성-14형’ 미사일에 대해 1차 미사일의 재진입체 무게는 500㎏이지만, 2차 미사일은 이보다 적은 300㎏에 그쳤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ICBM에 탑재되는 핵탄두의 무게는 500㎏ 안팎이다.


이 같은 재진입체 중량 차이로 인해 1차 미사일은 사정권이 미국 서부에 그쳤지만, 2차 미사일은 동부의 워싱턴DC까지도 공격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그러나 북한의 현재 기술로는 2차 미사일에는 핵탄두 탑재는 불가능하다는 게 그의 분석이다.

실링 연구원은 “북한이 KN-20 미사일의 디자인을 개선한다면 내년께는 서부를 타격할 수 있는 더욱 안정된 형태의 ICBM을 실전 배치할 수 있을 것”이라며 “북한이 고체연료를 이용해 단거리 미사일에서 장거리 미사일 순으로 탑재량을 늘리는 노력을 지속한다면 2025년께 고체연료 ICBM 개발에 성공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