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침수된 줄 모르고…” 침수차량 중고차 거래 주의보

소비자원 접수 피해 상담 중 침수 여부 확인 3.5%에 불과

실내 악취 및 진흙 흔적 등 살펴야 "전문가 점검 필요"

국지성 호우를 동반한 장마로 인해 침수된 차량이 관련 정보 없이 중고차 시장에 유통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2015년부터 올해 6월까지 1372 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중고차 침수 관련 상담 건수는 총 690건에 달한다고 2일 밝혔다.


소비자피해 중에는 중고차 구매 후 침수차량인 것을 알고 환불을 요구했지만 거절당한 경우가 많았다. 실제 중고차 침수 관련 상담 중에서 중고차 거래 때 차량정보로 제공하는 ‘성능상태 점검기록부’에 침수차 여부가 확인된 경우는 24건(3.5%)에 불과했다.

관련기사



중고차를 구매할 때 차량 실내에 곰팡이 냄새 등 악취가 나거나 안전벨트를 끝까지 당겼을 때 안쪽에 진흙 흔적이나 물때가 있다면 침수차량으로 의심할 수 있다. 그 외에 차량 곳곳에 모래나 진흙, 녹슨 흔적이 있거나 차량 배선이 새것으로 교체됐다면 침수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소비자원은 “보험개발원의 ‘카히스토리’에서 차량의 침수 사고 여부를 조회하거나 전문가와 동행해 차량 상태를 점검해 침수 중고차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차량이 침수됐을 경우 자기차량손해보험에 가입돼 있다면 차량가액 한도 내에서 보험금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차량 문이나 선루프를 열어놔 빗물이 들어갔다면 침수로 인정되지 않아 주의해야 한다. 또 차 안이나 트렁크에 실린 물품 피해는 보상이 어렵고 무리하게 침수지역을 운행했다면 보험료가 할증될 수 있다. 소비자원은 “강가나 저지대 등 상습침수지역에 주차했다가 장마철 집중 폭우로 넘쳐나는 빗물에 차량이 침수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