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실체 드러난 국정원 댓글부대...여야 엇갈린 반응

원세훈 전 국장원장 /연합뉴스원세훈 전 국장원장 /연합뉴스




여야는 4일 국가정보원 적폐청산TF가 지난 2012년 대선 당시 국정원이 대규모 ‘댓글부대’를 동원해 여론조작 활동 내용을 확인한 데 대해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경악스러운 일”이라며 한 목소리로 비판했다.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등 보수야당들은 공식 논평을 내놓지 않고 사태의 파장을 주시하는 분위기다. 보수야당에 포진한 친이(친이명박)계 의원들은 적폐청산 드라이브가 사실상 이명박 정부를 향한 것 아니냐는 반발기류도 있었다.

민주당 김현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내고 “18대 대선을 앞두고 제기됐던 국정원 댓글 사건에 진실의 일부가 밝혀졌다. 빙산의 일각임에도 매우 경천동지할 내용”이라면서 “당사자들은 더 늦기 전에 진실을 고백하라”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이명박 전 대통령, 원세훈 전 국정원장 등은 아무런 입장을 내지 않고 ‘지금 국정원이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는 주변의 반응만 있다”면서 “그 뻔뻔함에 기가 찰 노릇”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국정원 댓글공작은 일벌백계로 다뤄야 한다”면서 “이 전 대통령이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의당 김유정 대변인 역시 서면 브리핑에서 “결국 원 전 원장의 선거여론 조작사건의 몸통은 이명박 청와대인 셈이다. 실로 경악할 만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결국 반(反)정부 여론에 족쇄를 채우고, 민심을 조작하기 위해 이명박 청와대가 지시하고 국정원이 행동대장으로 나선 것”이라면서 “명백히 국정원의 탈법적인 정치개입이자 선거개입이다. 용서할 수 없는 위법행위는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꼭 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보수야당인 자유한국당은 국정원 적폐청산TF의 발표 결과에 대해 공식적인 논평을 내지 않았다.

김광림 정책위의장 권한대행도 원내대책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국정원 내부의 문제를 언론플레이하지 말고 내부에서 차곡차곡 해결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그보다 앞서 중요한 것은 안보, 특히 대북 문제”라고 말했다. 댓글사건 등이 국정원 독단의 일이 아니라 당시 정부와 교감을 나누는 과정에서 나왔을 것이라는 일부의 시각을 두고는 는 “(교감이) 있었는지 없었는지는 조사하는 과정에서 밝혀질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보수야당인 바른정당 역시 공식논평은 없었다. 이번 사안에 대해 성역없는 수사가 이뤄져야한다는 목소리도 공개적으로 나오면서 다소 복잡한 기류를 보이고 있다.

이혜훈 대표는 연합뉴스와의 통화하면서 “진실규명에는 어떤 정부든 성역이 있어서는 안 된다. 정치보복으로 비칠까봐 두려워서 진실을 덮으면 안 된다”라면서 “검찰수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 보이는데, 정말 진실이 명명백백히 드러나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반면 친이계인 김용태 의원은 통화에서 “몇년이 지난일인데 이 부분에 대해 다시 (조사를) 하겠다는 것인데…”라면서 “지금 최종 재판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부당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지 않겠느냐는 걱정이 있다”라고 말했다.

/김민제 인턴기자 summerbreeze@sedaily.com

김민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