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유영제 교수 "강단 떠나도 '기술 나눔' 계속 할겁니다"

'나눔의 과학' 유영제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월말 정년퇴임

필리핀서 '적정기술' 필요성 절감

국경 없는 과학기술자회 설립

정수기 개발 등 기술나눔 앞장

은퇴 후 사회공헌교수協 활동

31년 만에 정년퇴임하는 서울대 유영제 교수.





‘나눔의 과학기술’을 실천한 유영제(사진)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가 31년 만에 대학 강단을 떠난다.

지난 1986년 2학기부터 서울대 공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로 재직해온 유 교수는 효소 단백질 연구의 권위자로 손꼽힌다. 자연 상태에 있는 쓸모 있는 효소를 찾아 활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성능 좋은 효소를 만들어내는 것이 그의 주된 연구과제였다. 그가 이달 말 정년퇴임한다.


유 교수는 “31년 동안 강의와 연구가 어깨를 짓눌렀는데 그 부담에서 벗어나니 시원한 느낌도 든다. 한편으로는 ‘벌써 학교를 떠나야 하나’ 하는 생각도 들어 섭섭하기도 하다”며 소회를 밝혔다.

관련기사



그는 지금까지 300여편의 논문을 학술지에 게재하며 왕성한 연구활동을 해왔지만 그의 관심사는 첨단과학에만 머물지 않았다.

2009년 초 필리핀의 한 시골 마을을 방문한 유 교수는 한국인 자원봉사자들이 주민들에게 피부병 치료 연고를 발라주는 것을 보고 발병원인에 주목했다. 원인은 식수에 있었다. 하수 처리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기에 주민들은 가축 분뇨가 뒤섞인 물을 식수로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유 교수는 필리핀에서 맞춤형 ‘적정기술’의 필요성을 절감했다고 말했다. “오염된 물로 고통받는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최첨단 정수기가 아니에요. 최첨단 기술은 아니라고 해도 경제적으로 감당할 수 있고 고통받는 이들에게 가장 절실한 기술이 ‘적정기술’입니다.”

한국에 돌아온 그는 동료들을 모아 ‘국경 없는 과학기술자회’를 만들어 휴대용 정수기, 태양광 패널 결합 정수기 등 적정기술을 개발해 보급하는 일에 앞장섰다.

유 교수는 “개발도상국 지원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복합적인 사회공헌 활동이 필요하다”며 “문맹 상태를 벗어나기 위한 교육이나 환경 개선, 의료기술 향상은 따로 떼어 생각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런 발상에서 유 교수가 최근 새롭게 시작한 모임이 서울대 사회공헌교수협의회다. 사회공헌교수협의회에는 각 전공 분야에서 왕성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쳐온 교수 50여명이 동참해 협력 방안을 논의하게 된다. 유 교수는 은퇴 후에도 이 모임의 명예회원으로 활동할 예정이다. 유 교수는 “그동안 전자 산업이 한국의 산업화를 이끌었다면 앞으로는 바이오 산업이 새로운 산업화를 이끌 것”이라며 “이제 한국의 바이오 산업도 기틀이 잡히기 시작했는데 연구를 접으려니 아쉽다”고 말했다.

박진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