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올 2·4분기 휘발유·경유 소비 사상 최대...5월 연휴·저유가 효과

산업부 ‘2017년 2·4분기 석유제품 수급동향' 발표

휘발유 3.6% 증가, 경유 3.8% 늘며 분기 기준 사상 최고

원유 수입량은 2억6,450만배럴 기록...0.7% 감소

올 2·4분기 국내 석유수급 현황  자료:산업통상자원부올 2·4분기 국내 석유수급 현황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저유가와 차량 대수 증가, 5월 황금연휴 효과 등으로 지난 2·4분기 휘발유와 경유소비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7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17년 2·4분기 석유제품 수급동향’에 따르면 이 기간 석유제품 소비는 2억3,390만배럴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 증가했다. 특히 수송용 연료인 휘발유와 경유 소비가 크게 늘었다. 휘발유 소비는 3.6% 증가한 1,995만배럴, 경유 소비는 3.8% 늘어난 4,320만배럴을 기록했다. 각각 분기 기준 사상 최고치다. 저유가가 지속된데다 5월 황금연휴에 따른 교통량 증가 등이 영향을 미쳤다. 차량 대수도 증가도 한 몫했다. 올 6월 휘발유 차량은 1,025만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 증가했고 경유 차량 역시 938만대로 4.8% 늘었다. 또 석유화학 산업 호황으로 이 산업의 원료인 납사 소비도 늘었다. 납사 소비량은 1억640만배럴로 4.5% 증가했다.


원유 수입량은 2억6,450만배럴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0.7% 감소했다. 지역별로 아시아와 유럽지역으로부터 수입이 증가한 반면 중동산 원유 수입이 3.6% 줄었다. 중동에 치중된 원유 도입선의 다변화 방향에 다소 진전이 있었다는 평가다. 미주산 원유 도입은 17% 감소했다. 미국산 원유 도입량은 지난해 2·4분기 0였지만 올 2·4분기에는 260만배럴을 기록했고, 멕시코는 890만배럴에서 480만배럴로 줄면서 미주산 전체적으로 감소세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석유제품 생산량은 원유 수입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2억9,000만배럴로 전년 대비 2.1% 증가했다. 정유사가 벙커C유(중유) 등 중질유 고도화 설비에 재투입해 경질유(휘발유·경유·등유 등) 생산을 확대한 결과다.

석유제품 수입은 납사 수입이 증가한 반면 천연액화가스(LPG), 벙커C유 등의 수입이 감소함에 따라 1% 감소한 8,120만배럴을 기록했다. 석유제품 수출 역시 1억1,920만 배럴로 4.2% 감소했다. 다만 수출액을 기준으로는 수출단가가 오르면서 14.6% 증가한 71억9,700만달러를 기록했다.

/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