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서울경제TV] 주택 실수요자 청약 가점제 점수 높이려면

무주택자 새 아파트 청약 당첨 기회 확대

무주택기간, 만 30세부터 모집공고일까지

30세 이상 미혼 기간 줄여야 가점 높아

부모·조부모 3년이상 부양하면 가점 높아

청약통장 가입 빠를수록 도움… 월 2만원 이상

하반기 20만가구 분양… 전년보다 9% 늘어







[앵커]


정부가 지난주 주택 실수요자 중심으로 청약제도를 개편했습니다. 무주택자에게 청약가점을 높여 내 집 마련 기회를 더 주겠다는 것인데요. 서울·과천·세종 등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곳에선 전용면적 85㎡ 이하의 아파트는 모두 가점제로 입주자를 모집하는 만큼 점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정창신기자입니다.

[기자]

무주택자들의 새 아파트 청약 당첨 확률이 높아졌습니다.

지난 8.2부동산 대책에 따라 투기과열지구에선 전용 85㎡이하 주택은 100%, 조정대상지역에선 75%를 가점제로 입주자를 뽑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전용 85㎡ 초과 주택의 경우엔 투기과열지구는 50%, 조정대상지역은 30%로 각각 선발해야 합니다.

청약가점제는 무주택기간, 부양가족수, 청약통장 가입기간을 점수로 매겨 합산하는 방식으로 총 84점이 만점입니다.


무주택기간은 15년 이상이면 만점(32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무주택기간이 1년씩 늘어날 때마다 2점씩 가점됩니다.

관련기사



청약 신청자의 연령이 만 30세가 되는 날부터 주택의 모집공고일까지 계산되는데, 만 30세 전 혼인한 경우엔 혼인신고일부터 계산해야 합니다.

가령 28살에 결혼한 사람은 이때부터 무주택기간이 시작되지만 34살에도 미혼이라면 만 30세부터 무주택기간이 됩니다. 결혼을 염두에 두고 있다면 빨리하는 게 도움이 된단 뜻입니다.

부양가족수는 6명 이상인 경우 만점(35점)을 받게 됩니다. 자신을 뺀 나머지 가족수를 계산하는데 부양가족 1인당 5점씩 가점됩니다. 4인 가구라면 세대주를 제외한 3명의 점수를 더해 20점을 받게 되는 겁니다.

가점을 높이려면 부모, 조부모를 모시고 사는 방법으로 부양가족수를 늘릴 수 있습니다. 다만 부양가족으로 부모님을 인정받으려면 3년 이상 함께 거주해야합니다.

청약통장 가입기간은 15년 이상이면 만점(17점)을 받게 됩니다. 저축기간이 1년씩 늘어날 때마다 1점씩 증가합니다.

주택청약저축은 주택소유여부, 세대주 여부, 연령 등 관계없이 누구나 가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빨리 가입할수록 도움이 됩니다. 매달 2만원 이상 50만원 이내에서 5,000원 단위로 납입가능합니다.

닥터아파트 조사에 따르면 하반기 전국 분양 아파트는 20만162가구에 달합니다. 전년보다 9.4% 늘어난 수치입니다. 서울에선 전년보다 103.6% 늘어난 2만1,086가구가 분양되고, 경기도엔 지난해보다 7% 줄어든 6만5,617가구가 분양될 예정입니다.

[영상편집 소혜영]

정창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