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도산 안창호는 공산주의자’ 美이민국 모함 투서 최초 발견

투서엔 ‘흥사단도 볼셰비스트 조직…안창호 조속히 추방하라’ 내용 기재

도산 선생 3번째 방미 세부행적 밝혀져…시카고 이민국서 직접 심문받아

도산 안창호 선생을 모함한 영문투서/연합뉴스도산 안창호 선생을 모함한 영문투서/연합뉴스


도산 안창호 선생을 공산주의자(볼셰비스트)로 모함한 투서가 미국 이민국에 접수된 사실이 최초로 확인됐다. 안창호 선생의 세 번째 미국 체류와 추방 과정을 확인하는 사료로 평가된다.

9일(이하 현지시간) 장태한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UC리버사이드) 교수(김영옥 재미동포연구소장)에 따르면 1924년 12월 15일 ‘콩 왕’과 ‘찰스 홍 이’라는 이름으로 서명한 이런 내용의 투서가 미 노동부 산하 샌프란시스코 이민국에 접수된 것으로 확인됐다.


장 교수는 최초의 한인타운인 리버사이드 파차파 캠프에 집단 이주한 한인들의 입국 경로를 역추적하는 과정에서 북캘리포니아 샌브루노 미 정부기록보존소에서 우연히 이 문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캘리포니아 주 샌타바버라 시 알링턴호텔 전용 편지지에 총 4장의 영문으로 작성된 이 투서에는 “볼셰비스트(사회주의자) 지도자가 (하와이) 호놀룰루를 거쳐 곧 도착할 예정이니 유심히 지켜봐야 할 것이다. 그 사람 이름은 창호 안”이라고 기재돼 있다. 투서에는 이어 “그는 미국에 여러 해 살았으며 가족은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고 있다. 그후 중국으로 건너가 6년 체류하면서 볼셰비스트 정부 관계자들과 친분관계를 유지했다”고 이민국 관리에게 경고하는 내용이 쓰여있다. 투서 말미에는 “이민국에서 (안창호가 조직한) 대한인국민회를 특별히 조사하고 그를 중국으로 조속히 추방하길 희망한다”라는 문구도 들어있다.

투서에 연명 서명한 이들의 신원은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당시 대한인국민회와 대립 관계에 있던 대한인동지회의 이승만계 추종 세력이 투서를 보냈을 가능성이 있다고 장 교수는 추정했다.

도산 안창호 선생의 여행증명서/연합뉴스도산 안창호 선생의 여행증명서/연합뉴스


이 투서는 도산 안창호 선생이 1924년 12월 16일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하기 하루 전날 접수됐지만 이민국 담당자에게는 미처 전달되지 않아 도산 선생은 당시 미국으로 입국했다.


하지만 이듬해인 1925년 6월 3일 도산 안창호 선생은 시카고 노동부 산하 이민국에서 J.B 브래키 이민국 검사관으로부터 미국 입국 경위와 체류 행적에 대한 조사를 받았다.

관련기사



장 교수는 당시 검사관과 안창호 선생의 직접 심문 기록도 전문 공개했다.

검사관은 심문에서 안창호 선생에게 ‘소련 정부 또는 러시아에 관심이 있는가’, ‘강연 내용 중에 미국 정부가 과격하게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나’ 등의 심문 문항을 제시하며 물었다. 이 점에 비춰 도산 선생을 공산주의자로 모함한 투서가 이민국에 접수된 이후 안창호 선생에 대한 심문 파일이 작성됐고 그에 따라 직접 심문이 이뤄진 것으로 추정된다.

1925년 7월 22일 샌프란시스코 엔젤섬 이민국 문서는 안창호 선생에게 8개월 체류 연장을 허가했음을 입증했다. 1926년 2월 6일 엔젤섬 이민국 문서에는 “안창호가 오스트레일리아로 떠나는 배에 타는 것을 확인하라”고 적혀 있다.

또 1926년 2월 23일 이민국 문서에는 “중국인 도산 안창호가 S.S.소노마에 승선한 것을 사진과 함께 확인했다”고 돼 있다. 이는 이민국이 사실상 도산의 강제 추방을 마지막 순간까지 확인했음을 방증하는 자료다.

안창호 선생은 샌프란시스코를 떠나 하와이를 거쳐 호주로 추방됐다. 도산은 하와이에서 6시간 체류하며 감리교회에서 150명의 한인동포를 상대로 연설하고 바로 호주로 떠났다. 이후 안창호 선생은 중국으로 돌아간 뒤 1932년 가족이 있는 미국을 다시 방문할 예정이었으나 윤봉길 의사 훙커우 공원 폭탄 투척 거사 사건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됐고 이후 풀려났다가 1937년 수양동우회사건으로 다시 체포된 뒤 1937년 병보석으로 나왔으나 이듬해 3월 타계했다.

이번 투서를 포함한 사료 발견은 도산 안창호 선생이 미 이민국에 접수된 투서에 의해 공산주의자라는 모함을 받고 요주의 대상으로 조사를 받다가 강제 추방된 과정이 사실이었음을 입증하는 자료를 찾아낸 것이라고 장 교수는 의미를 부여했다.

도산 안창호 선생을 조사한 기록이 붙어있는 미 노동부 산하 샌프란시스코 이민국 검사관 서명 문서./연합뉴스도산 안창호 선생을 조사한 기록이 붙어있는 미 노동부 산하 샌프란시스코 이민국 검사관 서명 문서./연합뉴스


그동안 안창호 선생의 세 번째 미국 체류 행적(1924∼1926년)에 대해서는 방문기간 흥사단과 대한인국민회 동지들을 만나 독립운동 방략을 논의하고 미주 교민들을 규합한 정도로만 기록돼 왔으나 이번 사료 발견에 따라 미 이민국의 조사와 체류연장 서류 처리, 추방 조처 등의 구체적 행적이 드러난 것으로 평가된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