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21 수능 개편안] 대학 입학처 “절대평가 늘면 공정선발 어려워”

10일 교육부가 발표한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안과 관련해 서울 주요 대학 입학처장들은 전면적인 절대평가 도입에는 부정적 반응이 많았다.

건국대 입학처는 “7과목을 모두 절대평가로 하는 2안은 대학 입장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며 “대학 입시에서는 좋은 변별력을 둬야 좋은 학생을 뽑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교육부가 제시한 1안은 수능 전체 7과목 중 영어, 한국사, 통합사회·통합과학, 제2외국어 등 4과목을 절대평가로 치르는 것이고 2안은 전 과목을 절대평가로 하는 것이다.

2021학년도 수능에서 전면 절대평가가 도입되면 수능 변별력이 떨어지고 학생부종합전형(학종)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대체적이다.


한국외대 입학처는 “학종 비중이 커지는 것은 고교 교육의 정상화를 위해 바람직하기는 하다”면서 “그러나 학종 비중이 너무 커지면 고교 1학년 때 학생부 관리를 못 한 학생은 2·3학년때 기회가 없어져 버린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한양대 입학처는 “한양대는 학종 전형에 수능 최저 기준이 없어서 절대평가의 영향은 크지 않은 편”이라며 “정시에 대해서는 고민해봐야 하는데, 지금 같은 형태가 유지될지 아직 모르는 상황이다”고 전했다.

중앙대 입학처는 “불합격한 수험생이 공정한 선발 과정에서 떨어졌다고 생각하도록 해야 한다”며 “그런 차원에서 절대평가 과목이 늘어나면 공정하게 선발하기는 어렵다”고 주장했다.

서울대 관계자는 “1안이 채택되면 과학2 과목이 빠지는 것과 제2외국어에 절대평가가 도입되는 것을 빼면 현행과 다른 것이 없다”면서 “2안이 채택되면 우리는 현재 정원의 20%를 차지하는 정시에 대해서도 면접을 봐야 하고 동점자가 많이 나올 것이지만 EBS 연계율이 낮아지면 변별력은 확보 할 수 있을 것이다”고 전망했다.

박진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