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한은, 저출산·고령화로 2050년 45세 미만 취업률 30%대로 추락

한은, 15~64세 인구 급격한 감소 우려

기술발전으로 노동부족 초래할지는 미지수

고령층 일자리와 저출산 대책 마련 시급

로봇


한국은행이 고령화와 저출산의 영향으로 2030년을 기점으로 우리나라의 노동인구의 공급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2050년이 되면 생산성이 높은 45세 미만의 취업인구의 취업률은 30%대에 그칠 전망이다.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생)의 은퇴 시기에 맞춰 고령층 일자리 창출과 심각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은행은 10일 ‘인구 고령화가 노동수급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이철희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와 이지은 한은 경제연구원 미시제도연구실 부연구위원이 작성했다. 보고서는 인구 고령화의 충격으로 우리 노동시장에서 생산인력이 부족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분석했다.

보고서는 성별·연령별 인구변화를 분석한 결과 현재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유지될 경우 2,811만명인 경제활동인구가 2023년 2,891만명으로 증가한 후 2,035년에는 2,741만명, 2050년에는 2,499만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현재 거의 절반에 달하는 45세 미만의 경제활동인구 비율은 2050년 39%로 감소하고 8% 수준인 65세 이상 노동인구의 비중은 같은 기간 25%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취업인구는 2023년 2,785만명으로 정점에 도달한 후 2035년 2,648만명, 2050년은 2,367만명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경제활동인구와 마찬가지로 45세 미만 취업인구 비중은 현재 49%에서 2050년 33%까지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반면 9% 수준인 65세 이상 취업자 비중은 2050년 27%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15~64세인 핵심생산가능 인구는 지난해(100)를 기준으로 했을 때 2050년 31%포인트 하락한 69를 보일 것으로 추정됐다.

관련기사



다만 취업인구는 경제활동인구와 취업인구는 2050년 현재의 92%, 노동시간은 87% 수준을 나타낼 것이라고 추산됐다. 이는 인구 고령화로 노동의 공급규모가 줄어도 실제 현장에서 사람이 부족할 지는 확실하지 않기 때문이다. 인공지능 등 미래의 기술변화를 정확하기 예측하기 어려워서다.

이철희 교수는 “10~15년 후인 2030년께부터 노동부족문제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출산과 양육 지원정책, 외국인 근로자 정책, 고령인력과 여성 고용정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