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케이뱅크 6개월 앞당겨 1000억원 유상증자

재무건전성 악화에 전격 단행

2,500억 예상보다 절반도 안돼

연내 또 증자 이슈 발생 불가피

인터넷전문은행인 케이뱅크가 급증하는 대출 수요를 맞추기 위해 예상보다 6개월 먼저 증자를 단행하기로 했다. 하지만 증자 규모가 1,000억원에 불과해 당장 급한 불은 끄게 됐지만 연내 다시 증자 이슈가 발생하는 등 재무건전성 우려가 재발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10일 케이뱅크는 이사회를 열고 1,000억원의 증자 안건을 상정해 의결했다. 케이뱅크는 이날 현재 여신 규모가 6,300억여원에 달할 정도로 대출 수요가 폭증해 재무건전성 우려가 제기되면서 증자가 불가피한 상황에 처했다. 하지만 주요 주주 간 이견으로 증자에 속도를 내지 못하다가 핵심 주주인 KT에 대한 비판 여론이 확산되자 이날 전격 증자를 결정하게 됐다. ★본지 8월8일자 10면, 8월9일자 9면 참조

케이뱅크는 본인가 당시 사업계획서에 따르면 연말까지 여신 목표액을 4,000억원대로 설정했으나 대출이 빠르게 증가해 지난 6월 건전성 관리 차원에서 신용대출을 일시 중단하는 등 차질을 빚기도 했다.


이에 따라 KT나 우리은행·NH투자증권·한화생명·GS리테일 등 주요 주주들은 증자 참여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만약 주주 일부가 증자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실권이 생겨 제3자 배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관련기사



케이뱅크는 KT나 우리은행을 비롯한 핵심 주주들이 66%의 지분을 차지하고 있고 나머지는 13개 주주사들이 소액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총 20개의 주주사들로 구성돼 있어 얼마나 증자에 응할지는 아직 미지수다.

하지만 당초 예상됐던 증자액인 2,500억원보다 크게 적은 1,000억원만 증자하게 되면서 연내 증자 이슈가 다시 불거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부에서는 은산분리 규제로 8%의 지분을 갖고 있는 KT가 80억원만 증자에 참여할 수 있어 나머지 소액 주주사들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고 핵심 주주인 KT도 은산분리 규제를 이유로 추가 증자에 난색을 표하자 케이뱅크 이사회가 증자 금액 자체를 낮춰 의결했다는 관측도 나온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