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KAIST 첫 '창업융합 전문석사' 배출

이한별·김동완·차창배씨 졸업

KAIST 창업석사과정 첫 졸업생의 영예를 차지한 김동완(왼쪽부터)·이한별·차창배씨가 교내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사진제공=KAISTKAIST 창업석사과정 첫 졸업생의 영예를 차지한 김동완(왼쪽부터)·이한별·차창배씨가 교내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사진제공=KAIST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창업융합 전문석사 첫 졸업생 3명을 배출한다.

KAIST는 국내 대학 중 최초로 창업 노하우를 전문적으로 가르치는 창업석사과정을 개설한 후 지난 1년간 이 과정을 이수한 이한별(전산학부)·김동완(전기및전자공학부)·차창배(화학과)씨 등 3명에게 오는 18일 창업석사 학위를 수여할 예정이라고 13일 발표했다. 첫 입학생 4명 중 1명인 김건희(26·연세대 경제학과 졸업)씨는 딥러닝을 심층적으로 배우기 위해 한 학기 졸업을 늦췄다.

KAIST 창업석사과정은 2016년 9월 개설 후 신입생 4명 처음 입학한 데 이어 2017년 봄학기 현재 총 13명이 들어와 있다.


창업석사과정은 KAIST가 고(故) 스티브 잡스(애플 공동 창업자) 및 마크 저커버그(페이스북 창업자) 같은 21세기 창의융합인재 양성을 통한 창업 활성화를 목표로 2016년 9월 국내 대학 중 처음으로 개설했는데 학위논문을 창업교과목 이수로 대체할 수 있는 1년짜리 집중과정이다. 입학생들은 KAIST 장학생으로 선정돼 1년간 납입 수업료의 90%를 학기별로 지원받으며 매달 소정의 학자금도 받고 졸업생이 창업할 경우 별도의 창업지원금도 지원한다.

관련기사



졸업생 중 이한별(27·서울과학기술대 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 졸업)씨는 학사과정 재학 중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를 개발한 경험이 있다. 이를 기반으로 창업석사과정 재학 중 초기 스타트업인 ㈜제니스헬스케어에 합류해 현재까지 최고기술책임자(CTO)로서 개발 관련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이씨는 “KAIST에서 제공하는 다양하고 체계적이며 창업에 필요한 현장중심의 교육과정이 스타트업 활동에 많은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KAIST 내에 ‘런큐’라는 지식공유 컨소시엄을 설립해 KAIST 학생들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강의를 하고 있다.

김동완(27·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졸업)씨는 입학 전 모바일앱 기반의 서비스 창업을 시도했다가 실패한 경험의 소유자다. 그는 “기술 기반 스타트업이야말로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핵심자원으로서 빠른 변화가 요구되는 오늘날의 특성에 적합한 형태이기에 기술 기반의 스타트업을 창업하고 싶다”고 장래 포부를 이야기했다.

차창배(26·경북대 응용화학과 졸업)씨는 기업가정신의 의미를 “끊임없는 도전과 실패를 극복하는 열정”이라고 설명한 뒤 “지나칠 정도로 결과만 중요시하는 현재의 교육체계에 대한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제작하는 회사를 창업하고 싶다”고 졸업 후 활동계획을 밝혔다.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