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여학생 없어 ‘추운 공대’는 옛말 … 공대 따뜻해졌다

부경대 분석 결과, 여학생 공대 입학비율↑중도 탈락률↓

여학생이 적어 ‘차가운 대학’(Chilly Campus)으로 불리던 공대에 대한 여대생들의 선호도가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부경대학교 이공계 여성인재 진출 및 활용촉진 사업단(단장 윤종태 인쇄정보공학과 교수)에 따르면 최근 여학생들의 공대 입학비율은 늘고 중도 탈락률도 현저히 낮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부경대 공대의 여학생 입학비율은 2012년 26.5%(전체 1,970명 중 522명)에서 2016년에는 37.3%(전체 1,784명 중 666명)로 높아져 큰 증가폭을 보였다.

특히 2005년 4.5%에 달하던 부경대 공학계 여대생들의 중도 탈락률은 지난해 0.95%로 12년 사이 크게 낮아졌다. 공학계에 진학했다가 적성 등의 이유로 전공을 많이 바꾸던 여학생들이 지금은 잘 바꾸지 않는다는 의미다. 공학계 남학생들의 중도 탈락률은 2005년 1%, 2016년 1.21%로 큰 변화는 없었다.


공학계 학생들의 연도별 중도 탈락률은 2005년 남학생 1%, 여학생 4.5%로 큰 차이를 보이다가 2012년에는 남학생 1.7% 여학생 1.8%로 좁아졌다. 2014년에는 남학생 1.8%, 여학생 1.6%로 처음으로 역전한 뒤 지난해 남학생 1.21%, 여학생 0.95%로 폭이 유지되면서 중도 탈락률은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관련기사



공대 선택에도 주관이 뚜렷해지고 있다. 여학생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공대를 택한 까닭을 물었더니, ‘수능 성적에 맞춰서’가 2012년 40.4%에서 2016년 31.7%로 줄어든 반면, ‘대학보다 학과가 마음에 들어서’는 2012년 22.5%에서 2016년 23.7%로 늘었다. 또 ‘체험교실 참여로 인한 공대 인식변화’는 2012년 7.1%에서 2016년 18.6%로 크게 높아지는 등 공대에 대한 여학생들의 인식이 좋게 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경대는 지난 2006년 교육부의 여학생 공학교육 선도대학 지원사업에 처음 선정된 이후 11년째 여성 과학기술인 양성에 공을 들이고 있다. 윤종태 단장은 “공학계열이 남자들만 할 수 있는 무거운 것을 들고 험한 일만 하는 분야가 아니라는 인식이 여학생 사이에 확산되고 있는 점은 고무적인 현상”이라 말했다. 한편 교육부 ‘대학알리미’를 통해본 공학계 여학생 수(2015년)는 부경대가 2,527명으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이어 전북대 1,975명, 부산대 1,877명, 경북대 1,723명, 영남대 1,678명, 한양대 1,233명, 홍익대 914명 등의 순을 보였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