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계란값 여전히 고공행진…추석까지 이어지나

생산기반 회복 불구 노계·병아리 비율 높아

지난겨울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AI)로 인해 폭등한 계란값이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다../서울경제DB지난겨울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AI)로 인해 폭등한 계란값이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다../서울경제DB


지난 겨울 전국을 휩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사실상 마무리됐지만 폭등한 계란값은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다.

1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11일 현재 계란 평균 소매가(30개들이 특란 기준)는 7,592원으로, 지난해(5,382원)보다 2,210원 비싸다. 1년 사이 가격이 41.1%이나 오른 것이다.

AI가 한창 확산하던 지난 1월 계란값이 9,000원대까지 올랐던 것에 비하면 많이 하락했지만, 여전히 평년보다 비싸다. 서울 지역 소규모 슈퍼마켓과 마트 등 일선 소매점에서는 30개들이 계란 한 판 가격이 1만 원대에 육박하는 곳도 적지 않다.


정부는 계란값 상승 추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자 고육지책으로 지난 6월부터 태국산 계란의 수입을 허용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금까지 국내에 들어온 태국산 계란은 약 1,434만 개에 달한다. 대부분 가공용으로 판매된 것으로 보인다고 농식품부는 전했다.

관련기사



AI 발생 전 하루 평균 계란 공급량이 4,300만 개에 달했던 점을 고려하면 두 달 남짓한 기간에 1,434만 개가 수입된 태국산 계란 물량이 많다고는 말하기 어렵지만, 계란값 상승세를 억제하는 심리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계란 생산기반의 정상화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산란계 수는 AI 발생 직전 6,900만 마리였는데, 지금은 약 6,600만∼6,700만 마리 수준까지 회복된 것으로 추산된다.

한편, 산란율이 떨어지는 노계와 입식한 지 얼마 안 된 병아리의 비율이 높아 계란 생산량 자체는 AI 이전과 비교할 때 하루 평균 1,000만 개 이상 적은 것으로 추정된다. 일각에서는 여름철 계란 수요 감소와 산지가 하락 등으로 계란 소매가격 인하 요인이 발생했는데도 일부 생산업자와 유통업자들이 혼란기에 잇속을 챙기기 위해 시세보다 높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