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국내산 달걀에서도 살충제 검출...정부 대응 시기 도마 위에




국내산 달걀에서도 살충제 검출...정부 대응 시기 도마 위에국내산 달걀에서도 살충제 검출...정부 대응 시기 도마 위에


국내산 달걀에서도 살충제가 검출되면서 정부가 대응 시기를 놓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15일 한국소비자연맹에 따르면 4월 유통달걀 농약관리 방안 토론회에서는 국내산 달걀의 농약 성분 검출 논란이 다뤄졌는데, 당시 토론회에 참여한 박용호 서울대 교수는 지난해 산란계 사육농가 탐문조사 결과 양계농가 61%가 닭 진드기 감염과 관련해 농약을 사용했다고 밝혔으며 국립축산과학원은 지난해 국내산 닭의 진드기 감염률이 94%라는 통계를 발표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연맹 측은 "토론회 참석자들은 닭 진드기 감염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며 "당시 식품의약품안전처에도 관리 필요성을 제안했다"고 말했었는데, 이같은 연맹의 입장은 9일 당국의 안일한 대응을 지적하는 내용으로 발표됐다.

관련기사



연맹이 이와 같이 정부를 비판한 것은 발표가 있기 전 식약처가 국내에서 피프로닐 성분이 검출된 적이 없다고 밝혔기 때문인데, 특히 농림축산식품부도 올해 1월부터 지난달 중순까지 수입된 스페인산 달걀 100만개에서 살충제 성분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말한 바 있다.

한편 편의점 업계는 자발적으로 벨기에산 와플을 유해상품으로 분류하고 판매를 전면 중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 = 연합뉴스]

/김경민 기자 kkm2619@sedaily.com

김경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