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살충제 계란 파문 확산]살충제 계란이 버젓이 '무항생제 인증'…도마 오른 당국 위생관리

사육환경 열악·진드기 급증에

맹독성 살충제 사용 늘었지만

문제 성분 적게 쓰면 인증

수시 검사도 이뤄지지 않아





유럽에 이어 국내산 계란에서도 사용이 금지된 살충제 성분인 ‘피프로닐’이 검출되며 밥상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열악한 국내 산란계 사육 환경으로 살충제 사용이 급증하고 있지만 당국의 위생관리 체계에는 구멍이 뚫려 있다. 이 때문에 3일의 전수조사 기간에 이른바 ‘살충제 계란’이 추가로 발견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당국의 ‘뒷북’으로 식품안전에도 비상이 걸린 셈이다.

살충제 계란이 나온 원인으로 일부 산란 닭 사육 농가들이 진드기 박멸을 위해 기준 이상의 맹독성 살충제를 사용하는데도 정부가 관리·감독을 허술하게 한 것이 가장 큰 문제로 꼽힌다.


15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국내 산란계 사육 농장 1,100여개 중 99%가 철제 우리(케이지) 사육 방식으로 닭을 키우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닭 한 마리당 케이지 면적은 0.05㎡(가로 20㎝, 세로 25㎝)로 A4용지 한 장 크기에 불과하다. 이 같은 열악한 환경에 고온 현상이 지속되면서 최근 들어 진드기 발생이 급격히 늘고 있다. 국내 산란계 사육 농가가 진드기 박멸을 위해 맹독성 살충제를 사용했던 것도 이 때문이다.

관련기사



문제는 이 같은 살충제를 사용해 생산된 계란이 버젓이 ‘무항생제 축산물인증’ 상품으로 판매됐다는 점이다. 실제로 사용 금지된 살충제 성분인 피프로닐이 검출된 경기도 남양주의 농가도 이 인증을 받은 곳이다. 원인은 허술한 검역체계에 있었다. 경기도의 한 양계 농장 관계자는 “문제가 된 (살충제) 성분을 쓰더라도 적게 사용하면 무항생제 인증을 받을 수 있었던 게 사실”이라며 “수시 검사 제도도 있지만 거의 이뤄지지 않고 또 인증을 받은 직후 짧은 기간에 살충제를 대량으로 뿌려버리면 단속당할 일도 없었다”고 말했다.

3일간의 전수조사 이후가 더 걱정이다. 살충제 계란이 추가로 검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농식품부는 이달 초부터 3,000수 이상을 사육하는 양계 농가 1,060여곳(친환경 농가 780여곳, 일반 농가 300여곳)에 대해 잔류농약 검사를 진행했다. 현재 조사를 마친 친환경 농가는 불과 40여개(5%)다. 조사가 진행될수록 살충제 성분을 사용한 친환경 농가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큰 셈이다.

특히 정부의 ‘뒷북’ 대응은 이번 사태의 주요인이라는 비난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 확인 결과 계란을 대상으로 한 잔류농약 검사는 최근 3년 동안 단 한 건도 없었다”며 “상시적인 잔류농약 검사 시스템 확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는 “잔류 기준 이하일 경우 평생 섭취해도 안전하다는 뜻인데 잔류 기준을 넘었다고 해서 인체에 곧바로 유해하지는 않다”고 말했다.

세종=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