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농기원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는 20종의 살충제가 농촌진흥청에 등록돼 방제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산림과 농경지, 도심지역을 가리지 않고 이동하는 미국선녀벌레 특성상 부득이 살충제를 이용할 수 없는 곳에서는 친환경적인 방제를 해야 한다.
경기도에서 미국선녀벌레에 의한 피해는 주로 인삼에서 발생하는데 현재는 미국선녀벌레 방제용으로 등록된 약제도 없는 상태다. 친환경 인삼을 재배하거나 수확을 앞둔 경우 농가는 피해를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경기농기원은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아 인삼 GAP농가를 위해 미국선녀벌레 전용 살충제 6종을 선발했으며, 친환경 농가를 위해서는 데리스와 시트로넬라, 계피와 같은 천연소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농업자재를 개발했다. 특히 이 약제는 꿀벌에 독성이 낮고 효과가 빠르며 미국선녀벌레가 약제를 직접 맞지 않더라도 약제 살포 후 지속기간이 길어 3∼4일 동안 방제효과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또 안성과 연천의 인삼재배지에서도 95%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가 확인됐다고 경기농기원은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