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중소기업 취업한 청년들 1억 목돈 만들기 도와요"

남경필 지사 청년일자리대책 발표

월30만원 10년 저축때 목돈

2028년까지 재직자 1만명 지원

임금 양극화·미스매치 해소 기대

경기도 내 거주 18∼34세 ‘청년’이 도내 중소기업에 취업해 매주 36시간 이상 근무하면서 월 30만원을 저축하면 10년 뒤 1억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남경필 경기지사는 16일 이런 내용 등을 골자로 하는 청년 일자리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정책은 중소기업에 근무 중인 청년들에게 일정 금액을 지원, 이를 통해 대기업과의 임금 격차를 줄이고 장기적으로는 일자리 미스매치를 해결하겠다는 취지를 담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일하는 청년연금 도입 △일하는 청년 마이스터 통장 지원 △일하는 청년 복지 포인트 제공 등 세가지로 구분된다. ‘일하는 청년연금’은 도내 거주 청년 근로자가 도내 중소기업에 근무하면서 10년 이상 매월 일정액을 내면 경기도도 같은 금액을 지원, 퇴직연금을 포함해 최대 1억원의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도는 이 연금 방식으로 2028년까지 1만명의 중소기업 청년근로자를 지원할 계획이다. 지원 대상은 도내 퇴직연금 가입 중소기업에서 주 36시간 이상 근무하는 월 급여 250만원 이하 청년근로자이다.

또 ‘일하는 청년 마이스터 통장’은 중소기업 청년근로자에게 2년간 매월 30만원씩 모두 720만원의 임금을 직접 통장으로 지원하는 제도이다. 도는 올해부터 2020년까지 3년간 시행할 이 사업으로 2만명의 근로자를 지원할 예정이다. 지원 대상자는 도내 중소제조업체 재직자 중 월 급여 200만원 이하 청년근로자이다. ‘일하는 청년 복지 포인트’는 중소기업 청년근로자의 복리후생을 위해 10만명에 연간 최대 120만원의 복지 포인트를 지급하는 사업이다. 복지 포인트는 도가 별도로 구축할 예정인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


도는 이들 사업을 위해 조만간 의회에 제출할 올 2차 추경예산안에 195억원을 편성했다. 내년에는 1,660억원을 편성할 계획이다. 사업은 이르면 11월부터 시작된다.

관련기사



남 지사는 “이번 정책 시행으로 도내 중소기업 근로자의 장기근속을 유도하고 나아가 청년 구직자의 신규 유입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고 말했다.

경기도 일하는 청년시리즈 내용

구분 청년연금 청년마이스터 통장 청년복지포인트
목적 자산형성 임금지원 복지포인트지급(1년 단위)
사업기간 2017~2028년 2017~2020년 2017~2019년
지원대상(도내 만18~34세 청년) -도내 퇴직연금 가입 중소기업 주 36시간 이상근무자
-월급여 250만원 이하
-중소제조업 주 36시간 이상근무
-월급여 200만원 이하
-도내 100인 미만 중소기업 주 36시간 이상근무
-월급여 250만원 이하
지원 규모 1만명 2만명 10만명
지원금액 -10년간 매월 개인 대 도=1대 1 매청납부(월 10만원, 20만원, 30만원선택) 720만원(2년간 월 30만원) 동일사업장 근속기간에 따른 차등지원
-3개월이상~12개월 미만 연 80만원
-12개월 이상~24개월 미만 연 100만원
-24개월 이상 연 120만원
선발기준 제조 우선선발, 급여에 따른 우선선발 급여에 따른 우선선발 제조 우선선발, 급여에 따른 우선선발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