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김동연 "금리, 한은의 고유 권한…정부 언급 적절치 않다"

김동연 "금리 언급, 한은 독립성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주열-김동연 16일 '깜짝 만남' 시종 화기애애

"일 있을 때마다 만날 것" '정책공조' 의지 다져

김동연 경제부총리(오른쪽)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북핵 리스크에 따른 금융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대응책을 논의하기 위해 만나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김동연 경제부총리(오른쪽)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북핵 리스크에 따른 금융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대응책을 논의하기 위해 만나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청와대에서 ‘기준금리가 낮다’는 취지의 발언이 나온 가운데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 “금리 문제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고유 권한”이라고 말했다.

김 부총리는 이날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와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한 시간 반 가량 오찬회동을 가진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는 최근 김현철 청와대 경제보좌관이 한 언론 인터뷰에서 저금리를 부동산 가격 급등과 가계부채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하면서 “기준금리가 1.25%인 상황은 문제”라고 한 데 따른 것이다. 이 발언은 시장에서 ‘새 정부의 금리 인상 요구’로 받아들여지면서 채권금리가 급등하는 등 파장을 일으켰다.

김 부총리는 이에 “저는 시종일관 금리 문제는 통화당국에서 독립적으로 판단할 얘기라고 생각해왔다”면서 “정부에 있는 누가 됐든 (금리 문제에 관한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하는 것 자체가 한은의 독립성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에 이 총재도 “김 부총리의 의견을 전적으로 존중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재정·통화당국의 두 수장이 예정에 없던 ‘깜짝 만남’을 가진 이날 김 부총리와 이 총재는 내내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당초 1시간 계획됐던 오찬회동도 예정된 시간을 훌쩍 넘겨 40분가량 늦게 끝났다. 북한 리스크로 인한 금융시장 점검 및 대응 외에도 전반적인 국내외 경제 상황, 재정당국의 재정정책 및 내년도 예산 편성안에 대한 방침, 경제 구조개혁 방안에 대한 논의가 다양하게 이뤄졌다.

이날 김 부총리와 이 총재의 만남은 김 부총리 취임 나흘 만인 지난 6월14일 이후 약 두 달 만에 이뤄졌다. 두 사람은 “앞으로도 정례적으로 계속 만날 예정”이라면서 “두세 달보다 더 자주 만날 것”이라고 입을 모아 ‘정책공조’ 의지를 강조했다.

특히 김 부총리는 “(재정당국이) 보이는 것보다 한은의 도움을 많이 받고 있다”면서 “이 총재와 일 있을 때마다 (수시로) 만나려 한다”고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구체적인 시장 안정 방안에 대해서는 두 사람 모두 말을 아꼈다. 이 총재는 “상황 단계별로 어떤 조치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선 복안을 갖고 있지만, 아직 그런 조치를 취할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미리 얘기하는 건 적절치 않다”고 선을 그었다. 김 부총리도 이에 동의하면서 “다만 국민 여러분과 경제 주체들이 안심하고 경제활동할 수 있도록 여러 단계별로 준비와 협조를 잘하고 있다”고 당부했다.

빈난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