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마랑고니 효과 정량화 성공했다

-물과 알콜이 만나는 '와인의 눈물'이 대표적 현상

-KAIST 김형수 교수, 유동장 가시화 기법으로 규명

-상황에 따라 알콜 종류와 액적 크기 설계 가능해져

알콜 액적이 물 계면에 닿을 때 발생하는 마랑고니 유동(Marangoni flows). /사진제공=KAIST알콜 액적이 물 계면에 닿을 때 발생하는 마랑고니 유동(Marangoni flows). /사진제공=KAIST


마랑고니 효과는 계면을 따라 표면 장력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와인의 눈물’이 대표적인 마랑고니 효과이다.

물과 알코올처럼 서로 100% 섞이는 액체들은 만나는 즉시 혼합과 퍼짐이 동시에 이뤄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실제 물의 표면장력은 알코올보다 3배 정도 큰데 이 표면장력 차이 때문에 두 액체가 닿는 순간 계면에서 마랑고니 효과가 발생한다. 이후 혼합이 일어나기까지는 일정 시간이 소요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20세기 초반에 보고된 후 많은 논의가 됐지만 복잡한 물리화학적 혼합 현상을 정량화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과 김형수 교수 연구팀이 알코올과 물이 만날 때 발생하는 마랑고니 효과의 현상을 정량화하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을 통해 계면활성제의 광범위한 사용을 억제하거나 유체 표면의 불순물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 교수는 다양한 유동장 가시화 기법과 초고속 이미징 장비를 이용해 실험을 수행했다.


유동장 가시화는 물과 같은 투명한 액체가 얼마나 빠르게 흐르는지 파악하기 위해 입자를 띄워서 이들을 추적하거나 액체의 밀도 차이 변화를 광학적 기법을 이용해 감지한 후 촬영하는 방식이다.

관련기사



이를 통해 물과 알코올 사이에 발생하는 복잡한 물리화학적 현상의 정량화에 성공했고 이를 토대로 실험 결과를 예측하는 이론 모델도 개발했다.

이론 모델을 이용해 마랑고니 대류 유동 속도의 세기와 알코올 액적의 퍼지는 넓이, 유동장이 발달 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제 적용 상황과 조건에 맞춰 마랑고니 효과 유발 물질(알코올)의 종류와 액적의 크기를 설계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번 성과가 유체 계면에 따라 원하는 물질을 높은 효율로 쉽게 전달하거나 유체 표면의 불순물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무엇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약물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를 알코올이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는 의의가 있다. 김 교수는 “약물 전달을 위해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데 여러 부작용이 발생한다.”며 “알코올과 같은 새로운 약물전달 물질을 사용해 이러한 부작용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미국 프린스턴 대학의 하워드 스톤 교수와 공동으로 진행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피직스’ 지난달 31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김형수 KAIST교수 /사진제공=KAIST김형수 KAIST교수 /사진제공=KAIST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