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日·中 문화유산서 한글낙서 발견…‘혐한’ 부채질

日 고사찰 도다이지·中 만리장성서 한글 낙서

적절한 비판 넘어 혐한 표출

日 세계문화유산 도다이지에서 한글 추정 낙서 발견/연합뉴스日 세계문화유산 도다이지에서 한글 추정 낙서 발견/연합뉴스


일본의 대표적인 고사찰인 나라(奈良)의 도다이지(東大寺)에 이어 중국의 만리장성에서도 한글 낙서가 발견돼 두 나라 네티즌들의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다른 언어로 된 낙서가 적지 않게 발견된 상황이지만, 최근 한일(韓日), 한중(韓中) 간 긴장 관계가 이어지고 있어 모든 한국인이 공격 대상이다.

17일 중국 참고소식망 등에 따르면 만리장성 구간 중 바다링(八達嶺) 등 인기 장소에 새겨진 대량의 중국어, 영어, 한글 낙서 사진이 인터넷 SNS에 유포되고 있다. 관영 차이나데일리가 여러 언어의 낙서 중 한글 낙서를 주요 사진으로 소개하는 등 일부 언론이 비중 있게 다루면서 한국에 대한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웨이보에는 비문명적인 행위를 비난하는 6,000여 개의 댓글이 올라왔고, 문화유산에 낙서하는 행위에 벌금처분이 너무 약하다고 주장하는 글도 있었다. 낙서한 장소에 표지판을 세워 그런 행위를 경계하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앞서 일본에서는 지난 8일 세계문화유산인 고사찰인 나라(奈良)의 도다이지(東大寺)에서 한글로 보이는 낙서가 발견돼 일본 경찰이 수사에 나선 사실이 보도되기도 했다. 낙서가 발견된 곳은 도다이지 내 불당인 홋케도(法華堂·일명 산가쓰도<三月堂>)의 건물 라이도(禮堂)의 나무 난간 부분이다. 라이도는 가마쿠라(鎌倉)시대(12~14세기)에 재건된 건물이다. 사람 이름으로 보이는 한글 3~4글자가 무언가에 의해 긁힌 듯 새겨져 있었다.

관련기사



관련 내용이 보도된 뒤 일본의 SNS와 블로그 등에서는 혐한(嫌韓) 비판 글들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낙서가 한글이라는 이유로 한국인을 범인으로 지목하는 편견이 횡행하고 있다.”며 “비판의 창끝이 특정 국가와 민족을 향해 있다”는 전문가 코멘트를 담은 도쿄신문의 기사가 퍼져나가면서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혐한 발언을 경계하자는 취지의 코멘트지만, SNS 등에서는 “위안부(소녀상)에 일본어로 낙서해도 범인이 일본인이 아니라고 할 건가” 등 도쿄신문과 코멘트를 한 전문가를 비방하는 글이 넘쳐나고 있다. 적절한 비판은 도를 넘겨 “한국과 북한은 같이 멸망하라”는 식의 극도의 혐한 발언이 나오기도 한다.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논란 이후 냉랭해진 한·중 관계와 지난해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 살얼음판을 걷고 있는 한·일 관계가 영향을 미친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된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