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백브리핑]인터넷銀 저신용자에 불리한 까닭

시중은행보다 자산규모 적어

상환 여력 높은 우량고객 집중

인터넷전문은행이 가격경쟁력을 앞세워 무서운 속도로 고객을 끌어들이고 있지만 대출금리가 항상 시중은행보다 낮은 것은 아니었다. 고신용자의 경우 은행권 최저금리를 적용받지만 중·저신용자의 경우 타 은행과 비슷하거나 그보다 높은 금리를 적용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연구원의 정원석 연구위원과 황인창 연구위원이 20일 발간한 ‘인터넷전문은행 영업 성과와 시사점’에 따르면 신용등급이 최우량인 1∼2등급일 경우 케이뱅크의 신용한도대출(마이너스통장) 금리는 3.28%로 신한(3.50%)·KB국민(4.47%)·KEB하나(3.61%)·우리(3.63%) 등 주요 시중은행보다 낮았다. 그러나 신용등급 3~4등급의 경우 케이뱅크가 4.90%로 KB국민은행(5.05%) 다음으로 가장 높았다.

관련기사



이는 인터넷은행이 고신용자를 주 고객층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케이뱅크의 자본금은 2,500억원으로 자산 규모가 수백조원에 달하는 시중은행에 비해 현저히 적다. 상환 가능성이 높아 안정적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우량고객에 집중하는 편이 유리할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다. 업계 관계자는 “대출금리의 경우 인터넷을 통해서는 최저와 평균 금리 정도만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중·저신용자들은 번거롭더라도 일일이 은행을 다니면서 견적을 뽑아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