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해경 "STX조선 폭발사고, 작업자 없던 지하2층에서 폭발"

사고 당시 작업자는 지하 1·3층에 있어

지하 2층 방폭등 깨져…전기사고에 무게

해경 수사본부 김태균 수사본부장이 22일 경남 창원해경 5층 회의실에서 STX조선해양 폭발사고 관련 1차 감식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해경 수사본부 김태균 수사본부장이 22일 경남 창원해경 5층 회의실에서 STX조선해양 폭발사고 관련 1차 감식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해경 수사본부는 경남 창원시 STX조선해양 폭발사고 당시 도장작업자가 없던 지하 2층에서 폭발이 시작된 것으로 추정했다.

수사본부는 22일 창원해경 5층 회의실에서 전날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관계기관과 1차 감식 결과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폭발이 시작된 지점으로 추정되는 곳은 9.3m 깊이의 RO(잔유) 보관탱크 안에 철제 격벽으로 나뉜 3개 층 중 두 번째 층으로 파악했다. 숨진 작업자들은 발견 위치를 토대로 1명은 지하 1층에서, 나머지 3명은 지하 3층에서 작업하고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수사 당국이 파악한 폭발의 진원지는 깨진 방폭등 등이 발견된 곳이다. 감식 당시 유독 지하 2층에 있던 방폭등 1개만 겉면이 깨진 채 발견됐고, 방폭등과 연결된 전선 피복도 일부 벗겨져 있었다. 전날 1차 현장 감식 이후 폭발 원인으로 지목된 전기 요인에 의한 사고일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수사본부는 “다른 층과 비교해 유일하게 깨진 방폭등 1개가 지하 2층에 있는 점 등을 토대로 해당 층에서 폭발이 시작됐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수사 당국은 박폭등과 전선의 유지·관리 책임이 원청인 STX 조선에 있다고 판단해 이날 압수수색을 시작으로 STX 조선 관계자에 대한 조사도 본격적으로 확대한다. 앞서 수사본부는 숨진 작업자들의 감독관인 STX 조선 사내 협력업체 K 기업 조모 팀장이 사고 당시 작업 현장을 비우는 등 안전 수칙을 위반한 사항을 포착해 관련 수사를 병행하고 있다. 또한, 방폭등과 전선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발견된 장비에 대한 분석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의뢰하는 한편, 환기에 필요한 공기 흡·배출관의 적정 설치 여부와 작업자 안전장비 착용 여부 등을 확인할 방침이다.

/윤상언 인턴기자 sangun.youn@sedaily.com

윤상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