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국내 생산비용 부담 늘자…中企 절반 "해외생산 확대"

<수출기업 경쟁력 실태조사>

베트남·중국·아세안順 선호

국내 복귀 검토는 4.7%에 그쳐

2415A16 해외생산




해외에 생산시설을 보유한 중소 수출기업의 절반이 해외 생산 확대를 고려하는 반면 국내로 돌아오겠다는 기업은 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23일 발표한 ‘2017년 중소 수출기업 경쟁력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 1,015개 중소 수출기업 중 49.1%는 해외생산 확대 및 신규 해외 생산 거점 구축을 계획했다. 해외 생산을 국내로 이전하는 리쇼어링(Reshoring)을 고려하는 기업은 4.7%에 지나지 않았다. 39.2%는 현 상태를 유지하겠다고 했다.


기업들이 해외 생산을 늘리는 이유는 ‘생산비용 절감’이 45.2%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 ‘현지 시장 변화에 신속한 대응’(34.5%), ‘현지 맞춤형 제품군 확대’(7.1%), ‘관세·비관세장벽 회피’(7.1%) 등이었다.

관련기사



해외 생산 확대 대상 국가는 베트남(33.3%), 중국(19.0%), 아세안(10.7%), 인도네시아(9.5%), 인도(8.3%)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에 제조시설을 보유한 기업 중 24.9%는 해외 생산 거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매출액의 평균 31.8%를 해외에서 생산했다.

해외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원부자재는 한국에서 조달하는 비중이 45.6%, 현지 조달 29.2%, 기타 해외 국가 조달이 25.1%로 집계됐다. 기업들은 현재 주력 수출시장에서의 경쟁력 수준을 96.1점으로 평가해 선두 경쟁업체(100점)보다 경쟁우위를 확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품질, 디자인, 서비스 경쟁력은 모두 100점 이상으로 경쟁우위를 갖고 있으나 가격 경쟁력과 해외 마케팅·판매 경쟁력은 각각 97.4점, 93.9점으로 열위에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중소 수출기업 중 48.3%가 매출액 대비 10% 이상 금액을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고 앞으로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업체가 64.9%에 달해 제품 혁신을 통한 수출 확대 의지는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보고서는 “인센티브 확대 등 리쇼어링 유도를 통한 국내 경기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백주연기자 nice89@sedaily.com

이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