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연구원, 주4일 근무제로 일자리 나누는 제도 도입 필요

‘경기도형 시간제 정규직’ 도입…한국 연평균 실근로시간 OECD국가 중 두 번째로 장시간 근로

문재인 대통령의 노동공약 중의 하나로 근로시간단축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 예상되는 가운데 경기도는 주 4일 근무제 기반 ‘경기도형 시간제 정규직’ 도입을 제도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24일 주4일 근무 시간제 정규직 도입을 둘러싼 주요 쟁점과 의의를 다룬 ‘일자리 나누기를 위한 시간제 정규직 도입 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지난해 기준으로 한국의 연평균 실근로시간은 2,069시간으로 OECD 회원국 가운데 두 번째로 근로시간이 길다.


보고서에 따르면 근로시간의 유연성과 일자리의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일자리 창출방안으로 근로시간 단축을 통한 주 4일 근무 시간제 정규직 도입을 제시했다.

관련기사



주 4일 근무 시간제에 근거한 일자리 나누기로 비정규직 근로자는 정규직이 될 수 있고, 정규직 근로자는 장시간 노동의 감소로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저출산·고령화사회 대비가 가능하며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일자리 축소에 선제적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다.

김은경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주 4일 근무제는 일자리 창출과 국민 전체의 소득 및 여가 시간 증가 등으로 저성장 국면에 진입한 한국경제의 내수촉진에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일자리 나누기 목표로 주4일 근무제의 점진적 도입, 민간기업의 시간제 정규직 도입 유도, ‘경기도형 시간제 정규직’도입의 제도화를 제시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