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가격 비싸고 전문성은 부족…산후조리원 이용만족도 낮다

한국부인회 실태조사 결과

이용자 76% "보통이하" 평가

2주일에 200만원 이상 지출

이 사진은 기사에 등장하는 사례와 관련이 없습니다./사진=이미지투데이.이 사진은 기사에 등장하는 사례와 관련이 없습니다./사진=이미지투데이.


서현선(35)씨는 첫 아이를 낳은 지 4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민간 산후조리원에 대한 기억이 좋지 않다. 첫 출산 후 2주에 500만원이 드는 서울 청담동의 산후조리원을 찾았지만 조리사들은 1회에 100만원씩 하는 마사지, 필라테스와 아기성장앨범 등을 꾸준히 강요했다. 아픈 몸을 이끌고 참석한 교육 세미나는 장난감 회사의 홍보시간으로 쓰였다. 둘째 아이 때는 가격을 낮춰 300만원대 조리원을 선택했지만 수유실 위생이 좋지 않았고 마사지 후 부작용도 심했다.

맞벌이 부부의 산후조리원 수요가 갈수록 늘고 있지만 민간 조리원의 가격이 비싸고 보육자들의 전문성이 부족해 이용자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후조리와 직접 관련이 없는 상업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부추기고 가격에 따라 위생 상태 차이가 크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꼽혔다.


시민단체 한국부인회는 지난 7월부터 한 달간 기획재정부 특별물가사업의 일환으로 실시한 ‘산후조리원 이용실태 및 산후 서비스 만족도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 1,340명 가운데 63%(851명)는 ‘신생아 관리에 대한 부담감으로 도움을 받고 싶어서’, 22%(300명)는 ‘산후조리를 도와줄 사람이 없어서’ 산후조리 서비스를 찾았다고 답했다. 맞벌이 가구가 늘면서 산후조리 관련 지출을 선택이 아닌 필수로 받아들이는 산모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관련기사



그러나 실제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응답자의 75.9%는 산모 관리 프로그램이 ‘보통 이하’였다고 평가했다.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산모들은 평균 2주일에 200만~300만원을 지출하고 400만원 이상 지출하는 산모도 24.6%에 달했지만 산모 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23%대에 그쳤다. 신생아 관리 프로그램 만족도도 38%에 불과했다. 응답자들은 ‘비싼 가격’ ‘추가 서비스에 대한 압력’ ‘산후도우미의 전문성 부족’ 등을 불만사항으로 꼽았다.

조갑출 중앙대 간호학과 교수는 “중장년의 경제활동이 늘수록 기업형 산후조리 서비스는 더욱 확대될 것”이라며 “저소득층 산모를 포함한 산모 전반의 건강을 담보하려면 정부 차원에서 조리원의 가격과 질을 꼼꼼히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 교수는 △산후조리사 간호교육 의무 이수 △공공 산후조리원 확대 △민간 산후조리원 관리·감독 강화를 제안했다.

신다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