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발포명령 하달 문건 “1인당 20발, 실탄 장전 및 발포”

발포명령 하달 문건 “1인당 20발, 실탄 장전 및 발포”발포명령 하달 문건 “1인당 20발, 실탄 장전 및 발포”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발포 명령을 부인해온 신군부의 주장을 뒤집는 증거가 제시됐다.


5.18 재단기념재단은 1980년 5월 광주에서 계엄군의 집단 발포가 자행되기 하루 전 실탄 장전과 발포 명령 하달, 전남 목포에 해병대 병력 배치 계획이 기록됐고, 505보안부대가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광주소요사태(21-57)문서’를 공개한 바 있다.

국방부는 25일 5.18 민주화 운동 당시 ‘발포 명령 군 문건 공개’에 대해 “객관적 진실규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진상 조사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문건에 따르면 오후 11시 ‘완전 무장한 폭도가 1만여명에 달하고 있음’이라고 기록돼 있고, 이어 5분 뒤 ‘전교사 및 전남대 주둔병력에게 실탄 장전 및 유사시 발포 명령하달(1인당 20발)’이라는 지침을 내리며 ‘광주 소요가 전남 전 지역으로 확대됨에 따라 마산 주둔 해병1사단, 1개 대대를 목포로 이동 예정’이라고 적혀 있다.

이는 5월20일 밤 첫 실탄이 지급됐다는 2007년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조사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당시 전남대 배치 병력은 3공수여단으로 문서 맨 아래에는 ‘(80. 5. 21 00:20. 505)라고 적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5·18 재단은 “5월20일 밤 505보안부대가 이 같은 군 지침 정보를 입수했고 다음 날 오전 0시20분 이 문서를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1980년 5월21일은 계엄군이 당시 전남도청 앞에서 무장도 하지 않은 광주 시민들에게 집단 발포를 가하며 학살을 저지른 날로 전해지고 있다.

진상규명위 조사 결과에 따르면 3공수여단(여단장 최세창 준장)은 5월20일 오후 11시 광주역 앞에서 12·15·6대대에 실탄을 처음으로 지급했고, 한 시간 뒤인 21일 자정 옛 전남도청에 있던 3공수여단 여단(최웅 준장), 61대대(안부웅 중령), 62대대(이제원 중령)에도 탄창 1개씩(15발)을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같이 실탄이 배분된 뒤 3공 12·15대대가 발포해 첫 사망자가가 나오는 등 4명이 희생되고, 6명이 총상을 입었다는 점도 애초해 발포명령 하달 지침이 내려왔다는 의심이 가는 대목으로 확인되고 있다.

[사진=5.18 기념재단 제공]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