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20개월째 인구 감소…울산 '울상'

현대重 수주 급감·신고리 5·6호기 건설 불투명에 탈울산화 가속

울산 동구에 위치한 현대중공업 해양사업부. 해양플랜트는 2014년 11월 이후 30개월째 수주가 끊기면서 조선 관련 부문 가운데 가장 심각한 일감 부족 사태를 맞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중공업울산 동구에 위치한 현대중공업 해양사업부. 해양플랜트는 2014년 11월 이후 30개월째 수주가 끊기면서 조선 관련 부문 가운데 가장 심각한 일감 부족 사태를 맞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중공업




산업도시 울산의 인구가 20개월께 줄어들고 있다. 조선업 위기로 시작된 인구감소는 일감부족 현상이 본격화되는 내달부터 더 심화할 전망이지만 현대중공업이 구조조정 대신 선택한 고통분담을 노조가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인구 감소는 더 가속화될 우려를 낳고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조선인력을 흡수할 것으로 기대했던 신고리 5·6호기 건설마저 불투명해지면서 울산시가 울상을 짓고 있다.

27일 통계청과 울산시 등에 따르면 올해 7월 말 기준 울산 인구는 118만8,629명이다. 시도 간 인구이동을 나타내는 통계에서도 울산은 7월 순이동률이 -0.08%로 서울과 함께 타 지역으로 빠져나간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꼽혔다. 울산의 인구가 정점을 찍은 것은 조선업 위기가 본격화된 2015년 11월말로 120만640명이었다. 20개월 연속 꾸준한 하락세로 조선업 구조조정이 이뤄진 시점과 일치한다. 실제 현대중공업은 2015년 초 구조조정을 시작했다. 2014년 말 2만8,300여명에 달했던 현대중공업의 직원 수는 2017년 6월 2만1,400여명(현대일렉트릭 등 분사 직원 포함)으로 줄었다.

2815A33 울산광역시



문제는 여전히 유휴인력이 넘친다는 데 있다. 현대중공업은 선박 수주 급감으로 인한 일감 부족현상이 지속되고 있는데 특히 해양플랜트는 지난 2014년 11월 이후 3년 가까이 신규 수주가 전무한 실정이다. 회사는 올해 하반기 유휴인력이 5,000명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회사는 올해 1월 고용보장을 전제로 기본급 20% 반납을 노조에 제안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회사는 결국 지난 24일 노조에 유휴인력을 대상으로 순환휴직, 직무향상교육과 함께 인력구조조정을 실시한다는 방침을 전달했다.

관련기사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 논의도 울산시로선 큰 걱정거리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울주군 서생면에서 진행하고 있는 신고리 5·6호기 공사에는 총 5만명 가량의 인력이 투입된다. 공사에는 삼성물산 두산중공업 한화건설 등 시공사를 비롯해 협력업체 등 760여 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이 가운데 조선 관련 인력인 용접공은 기초공사가 마무리된 뒤 오는 10월부터 용접 등 작업에 투입될 예정이었으나 현재 불투명한 상황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의 인구가 줄어드는 것은 주력산업 부진에 따른 영향이 크다”며 “지역경제 발전과 성장의 기본인 인구를 늘이는 행정적, 정책적 역량을 결집해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