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줄줄이 문 닫는 인천 바닷모래 채취업체

송도·영종도 등 아파트 신축 공사 차질 우려

인천 앞바다의 바닷모래 채취가 중단되면서 물량이 바닥을 드러내자 27일 인천 남항 모래부두에 빈 트럭들이 줄지어 서있다. /사진제공=한국바다골재협회인천 앞바다의 바닷모래 채취가 중단되면서 물량이 바닥을 드러내자 27일 인천 남항 모래부두에 빈 트럭들이 줄지어 서있다. /사진제공=한국바다골재협회




인천에 본사를 둔 바닷모래 채취업체인 A사는 오는 9월부터 바닷모래 채취가 중단됨에 따라 사업장을 접기로 했다. 회사 관계자는 “덤프트럭에 싣는 바닷모래 상차도(上車渡) 가격이 지난해 6월 1㎥당 1만2,000원에서 현재는 1만8,000원으로 뛰었다”며 “9월부터는 가격형성이 아예 안될 것으로 판단해 문을 닫기로 했다”고 말했다.

27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지역에는 모두 15개의 바닷모래 채취업체가 영업 중이다. 이달 말 인천 앞바다 바닷모래 채취가 사실상 끝나면 9월 초부터 사업장을 닫는 곳이 늘어날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A사를 포함해 3~4개 업체가 이미 사업중단을 고려중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고성일 한국바다골재협회 부회장은 “가을 수도권 골재 파동은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면서 “현재 수도권에 공급되고 있는 바닷모래는 월평균 100만㎥ 였는데 굴업·덕적 해역의 골재채취가 이달 말 끝나면 문을 닫는 업체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송도·영종·청라지구 등 3개 경제자유구역의 아파트 신축 공사도 차질이 일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바닷모래와 돌을 깬 부순 모래를 섞는 비율이 5대5까지 허용되나 부순 모래를 많이 쓸 경우 레미콘 강도가 떨어져 부실공사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3개 경제자유구역에서 공사 중인 아파트는 33곳에 3만7,734세대에 이른다.

지난 2013년 8월부터 바닷모래를 채취 중인 인천 굴업·덕적 해역은 1,890만㎡에는 전체 허가량 3,300㎥ 중 3,200㎥를 모두 파내 이달 말 종료된다. 이와 관련, 현재 옹진군 선갑도 해역(선갑지적 7개 섹터) 1,670만㎡에 대한 골재채취 허가가 진행중이다. 채취 계획량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매년 900만㎡씩 총 4,500만㎥다. 다만 지난 2015년 8월부터 시작된 허가 절차가 수차례 반려되는 등 빨라야 내년 1월 이후에야 골재채취가 가능할 전망이라는 것이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28일부터 전국 779개 레미콘 생산공장에 대한 품질관리 실태 점검에 나선다. 이번 점검은 흙이 섞인 골재를 사용하거나 시멘트 양을 줄여서 납품하는 사례가 적발되는 등 부실공사 우려가 커진 데 따른 것이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