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택시 할증 바가지' 민원 줄인다…택시 시외할증 자동화

서울시, GPS 기반 자동화 시스템 시범 도입

택시 미터기/연합뉴스택시 미터기/연합뉴스


택시 기사가 손님 몰래 할증 버튼을 누르는 등 택시비 부당요금을 방지하기 위해 ‘시계외(市界外) 자동할증 시스템‘이 도입된다.

서울시는 올해 9~12월 택시 약 100대를 대상으로 시계외 자동할증 시스템을 시범 도입한다고 28일 밝혔다. 서울 택시가 서울 밖으로 나갈 경우 거리 요금과 시간 요금에 각각 20% 할증 요금이 붙어 계산된다. 택시기사가 손님을 받고 서울을 벗어날 때 ‘시계’ 버튼을 눌러 할증을 적용하는 식이다.


‘할증 시작 시점’을 두고 “서울을 벗어나지 않은 것 같은데 왜 벌써 할증을 적용하느냐”는 등의 승객 민원이 끊이질 않았다. 반대로 택시기사가 시계 버튼을 누르는 것을 잊은 경우 그 손해를 고스란히 기사가 떠안아야 했다.

관련기사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국스마트카드에서 GPS와 연계한 자동화 프로그램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에 따르면 자동화 프로그램은 완성 단계에 들어섰다. 복잡한 시외할증 적용 규칙을 자동으로 따져 실제 요금에 반영하는 방식이다. 서울 밖이라도 ▲ 서울 시내 → 시외 → 시내 ▲ 서울 시내 → 인천공항·위례신도시·광명시 ▲ 인천공항 → 서울시·인천시·부천시·고양시·김포시·광명시의 경우에는 할증이 적용되지 않는다.

서울 택시 시계외 할증 적용 여부 사례/서울시서울 택시 시계외 할증 적용 여부 사례/서울시


또 미터기에 기존 ‘주행’ 버튼 외에 ‘주행’(시외) 버튼이 생겨, 시계외 운행의 경우 택시기사가 출발할 때 한번만 ‘주행’(시외) 버튼을 누르면 된다. 시계를 넘어갈 때 카드결제기가 GPS를 통해 할증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해 그 결과를 미터기에 알려줘 요금이 계산된다.

시는 “운행 중 추가 조작이 필요 없어져 택시 요금에 대한 시민의 불신이 사라질 것”이라며 “불필요한 조작을 없애 안전운전을 꾀하는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는 다음 달 대상 차량의 미터기 수리 작업을 거쳐 10월부터는 시범사업을 시작할 방침이다. 이후 연말에 시범사업 결과를 따져 내년 초 본격적인 확대 여부를 검토할 방침이다.

/조은지 인턴기자 ejee@sedaily.com

조은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