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상용직-임시·일용직 더 벌어진 임금격차

月 206만원…전년비 2.3%↑

올해 상용직과 임시·일용직 근로자 간 임금 차이가 지난해에 비해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임시·일용직 근로자의 월 급여 수준은 상용직의 42.6%에 그쳤다.

30일 고용노동부의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 올해 6월 기준 5인 이상 사업체의 상용직(고용계약 기간 1년 이상)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59만1,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10만2,000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임시·일용직의 월평균 임금총액은 147만5,000원에서 153만원으로 3.7%(5만5,000원) 늘었다.


임금 증가율은 임시·일용직이 컸지만 이들 간 임금 격차는 201만4,000원에서 206만1,000원으로 2.3%(4만7,000원) 더 벌어졌다. 고용부는 임금 차이가 커진 요인으로 서로 다른 근로시간을 꼽았다. 고용부 관계자는 “상용직의 근로시간이 임시·일용직보다 길기 때문에 임시·일용직의 임금 상승률이 더 높았음에도 임금 차이는 오히려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실제 상용직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78.6시간으로 임시직(110.0시간)에 비해 68.6시간 더 긴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기업 규모별 임금 격차도 더 벌어졌다. 300인 이상과 미만 사업체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 차이는 165만4,000원에서 169만4,000원으로 4만원 확대됐다. 300인 이상 사업체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478만4,000원으로 3.4% 늘었고 300인 미만은 309만원으로 4.0% 상승했다.

종사상 지위와 사업체 규모 구분 없이 전체 근로자의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29만6,000원에서 340만7,000원으로 3.4% 증가했다. 반면 근로시간은 174.3시간에서 172.5시간으로 1.0% 감소했다.

7월 기준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 수는 1,696만5,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9%(31만8,000명) 늘어났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