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공휴일 하루 늘면 국내 소비 432억원 늘어난다”

문화관광연구원 “총 714억 원 생산유발효과 발생”

추석 열차표를 구매하려는 시민들이 줄을 서며 예매시간을 기다리고 있다./서울경제DB추석 열차표를 구매하려는 시민들이 줄을 서며 예매시간을 기다리고 있다./서울경제DB


추석 연휴를 앞두고 10월 2일의 임시 공휴일 지정 여부에 관심이 쏠린 가운데 공휴일이 하루 늘어나면 국내지출이 432억 원 증가하고 714억 원 규모의 생산유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박상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은 30일 ‘연휴가 관광수요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월별 휴일이 하루 더 늘면 월별 평균 1인당 국내여행지출액은 919원, 해외여행 지출액은 337원 각각 증가한다. 국내 여행 지출액 919원 가운데 숙박여행 지출액은 788원이고 당일 여행 지출액은 131원이다.


예컨대 2015년 우리나라 15세 이상 인구가 4,360만 명임을 고려하면 하루 증가로 국내여행 지출액은 400억 5,000만 원, 해외여행 지출액은 146억 9,000만 원 각각 늘어난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해외여행비 지출은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여행상품이나 여행준비물 구매에도 사용된다. 2008년 한국관광위성계정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국민이 해외여행 지출을 할 때 국내에서의 씀씀이 비중은 21.6%였다. 이를 고려하면 해외 여행비 중 국내 지출액은 31억 7,000만 원으로 집계된다.


공휴일 하루 증가에 따른 직접적인 경제적 가치는 국내 여행 지출액과 해외여행 때 국내 지출액을 합친 432억 2,000만 원으로 추산된다. 공휴일 하루 증가로 발생하는 여행 지출은 농림어업 등 각 산업부문의 재화나 서비스 생산활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를 ‘생산유발효과’라고 부른다.

관련기사



문화관광연구원의 관광산업 경제효과 분석에 따르면 관광산업의 생산유발승수는 1.6526이고 부가가치 유발승수는 0.8331이다.

보고서는 이를 활용해 공휴일 하루 증가에 따른 생산유발액은 714억 원이고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360억 원으로 추정했다.

박 부연구위원은 “국내 관광과 내수 경제 활성화를 위해 임시 공휴일을 확대하는 정책은 관광 측면에서 상당한 타당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휴일 확대의 경제적 효과를 설문조사 방식에 근거했던 종전과 달리 이번 보고서는 2007∼2016년 일별 출입국 통계 원자료와 2011∼2016년 국민여행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해 실증적으로 분석했다고 박 부연구위원은 설명했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