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산모 4명중 1명은 35세 넘은 '고령'…출생아수 또 큰폭으로 줄어

통계청, 2016년 출생 통계 발표

합계출산율 1.17명…7년만에 최저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1.17명으로 7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연합뉴스지난해 합계출산율이 1.17명으로 7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연합뉴스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7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출산 연령은 점점 높아져 아기를 낳은 여성 4명 중 1명이 35세 이상 고령 산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6년 출생 통계(확정)를 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40만 6,200명으로 전년보다 3만 2,200명(7.3%) 줄었다. 출생아 수는 2013년부터 2년 연속 줄어들다가 2015년 3,000명 증가했지만, 지난해 다시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組)출생률도 7.9명으로 0.7명 줄었다. 여자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전년보다 0.07명 감소한 1.17명이었다. 이는 2009년 1.15명을 기록한 이후 7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합계출산율은 2012년 1.30명까지 올랐지만 최근 다시 떨어져 1.20명 내외를 맴돌고 있다.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주요 선진국과 비교해 바닥 수준이다. 2015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평균 출산율은 1.68명으로 우리나라(1.24명)와 큰 차이를 보였다.


초혼 연령이 늦어지면서 30대 초반 이하의 출산율은 감소하고 30대 후반 이상 출산율은 증가했다. 지난해 25∼29세의 출산율(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은 56.4명, 30∼34세 출산율은 110.1명으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각각 6.7명(10.6%), 5.7명(5.7%) 감소한 수치다. 한편, 35∼39세, 40∼44세는 각각 0.4명(0.8%), 0.3명(5.4%) 늘어난 48.7명, 5.9명이었다.

관련기사



산모의 평균 출산 연령도 전년보다 0.2세 상승한 32.4세로 나타났다. 특히 35세 이상 고령 산모 구성비는 26.4%로 전년보다 2.5%포인트(p) 상승했다. 2006년 35세 이상 고령 산모 비중이 11.8%였다는 점에 고려하면 상승속도가 매우 빠르다.

저출산 현상이 계속되면서 첫째 아이 비중은 지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첫째 아이 비중은 52.5%로 전년보다 0.2%p 늘었다. 2011년 51.0%를 기록한 이후 6년 연속 증가하고 있다. 결혼 후 2년 이내에 첫째 아이를 낳는 비율은 68.1%로 전년보다 1.3%p 감소했다. 2∼3년 사이 첫째 아이를 낳는 비율은 22.3%로 0.6%p 증가했다. 쌍둥이 등 동시에 두 명 이상이 함께 태어난 다태아는 1만 5,734명으로 전년보다 432명 줄었다. 다태아 산모의 평균 연령은 33.6세로 한 번에 한 명의 아이를 출산한 산모의 평균 연령보다 1.2세 많았다. 임신 기간 37주 미만 조산아 구성비는 7.2%로 전년보다 0.3%p 증가했다. 임신 기간 37주 미만인 산모의 평균 연령은 33.0세로, 37∼41주의 평균 연령(32.4세)보다 0.6세 많았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